신공항 건설 정부 의지가 관건
신공항 건설 정부 의지가 관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국제공항의 수용 능력이 앞으로 7년 후인 2019년에 한계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이 그제 내놓은 ‘제주공항 개발연구 구상’용역 최종보고서다. 국토연구원은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 중간보고서를 통해 같은 전망을 제시한 바 있다.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공항의 연간 여객수요는 2015년 2100만명, 2020년 2430만명, 2025년 2760만명, 2030년 31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1월 발표한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의 예측치(2015년 1729만명, 2020년 1988만명, 2025년 2233만명, 2030년 2494만명)를 훌쩍 뛰어 넘는다. 202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연간 500만명이나 더 많다.

최종 보고서에서 또 하나 주목할 예측치는 연간 운항횟수다. 정부가 공항개발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요소다. 이 역시 정부 예측치를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면서 활주로 용량의 포화시기는 연간 운항횟수가 17만2000회에 도달하는 2019년이라고 내다봤다. 정부가 예측한 포화시점 2025년과 비교해선 6년 이상 빠르다.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항공수요를 감안하면 국토연구원의 분석이 타당하다.

따라서 결론은 분명하다. 2019년 포화에 대비해 제주공항의 확장 또는 신공항 건설 등 다각적인 검토가 시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3의 장소에 공항을 건설하든지, 현 제주공항을 대폭 확장하든지간에 제주공항 개발을 서둘러 가까운 장래에 다가올 항공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것이 도민사회에 형성된 공감대다.

그러나 이 현안에 정부의 방침이나 일정이 느긋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고작 2014년에 가서 제주공항의 항공수요를 재검토해 보겠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방침이고 대책인 것이다.

결국 제주공항 개발은 정부의 의지가 관건으로 대두됐다. 도정과 도민사회가 역량을 결집해 ‘국책사업으로서, 조기에 건설돼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득하고 정치권을 압박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