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히 추진해야 할 소규모 학교 통폐합
신중히 추진해야 할 소규모 학교 통폐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도내 소규모 초등학교의 통폐합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됐다. 비단 교육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마을공동체의 구심적 역할을 해왔던 공간이 없어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사안이다.

도교육청은 학생 수 감소로 정상적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운 소규모 학교 17개교에 대해 오는 2016년까지 통폐합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일단 전교생 60명 이하 본교와 20명 이하 분교장이 그 대상이다.

이에 따라 내년에 풍천초·수산초·가파초 등 3곳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통폐합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몇 년 안에 적지 않은 학교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처지에 놓인 것이다.

교육당국이 이처럼 학교 통폐합 작업을 본격화하는 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다. 학생 수가 적은 학교에서는 한 교실에서 여러 학년이 수업한다거나, 교사 한 명이 전공과 상관 없이 여러 수업을 하면서 교육의 질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수업뿐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성 교육에도 불리하다 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한다. 학교 통폐합을 전통이나 지역 정서상의 문제로 반대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이나 학교 교육력을 우선할 수는 없다고 본다. 교육당국이 내세우는 교육재정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서도 검토돼야 할 문제다.

다만 학교 통폐합은 신중하고 신축성있게 추진해야 옳다. 학생 수를 잣대로 밀어붙이기 식으로 추진돼선 안 된다는 얘기다. 외형적으로 그 대상에 해당되더라도 인근 학교와의 통학거리나 향후 지역발전 가능성 등 모든 측면을 세세하게 분석해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 생각해 보면 자녀를 먼 거리에 있는 학교에 통학시킬 바에야 아예 도시로 떠나겠다고 작정하는 부모들이 상당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농어촌은 더욱 황량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작금 농어촌 학교의 학생 수 감소는 저출산보다도 바로 그런 영향에 기인한 바 크다. 교육당국이 그 파장을 고민하리라 보지만, 보다 합리적인 대응을 주문한다. 지역주민의 공감대가 우선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