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진 후 좌회전’신호, 보완책 필요하다
‘직진 후 좌회전’신호, 보완책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직진 후 좌회전’신호체계가 시행된지 2년 6개월이 지났다. 2010년 교통문화 선진화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하지만 도심지 일부 좌회전 차로에 차량들이 수십m씩 꼬리를 물어 교통 흐름을 더 악화시키고 있어 문제다.

제주시 마리나호텔 사거리를 비롯해 하나로마트 인근 사거리 등은 출·퇴근 시간에 사정은 더 심각하다. 신호를 2~4번 받아야 하고, 운전자들의 짜증 섞인 불만의 소리가 높다. 일부 성질이 급한 운전자는 직진 차선에서 좌회전을 시도하는 곡예운전도 마다하지 않는다. 또 좌회전 대기차량들이 1차로를 막아 직진차량의 진행을 방해하거나, 급정거를 하는 등 아찔한 상황도 연출하고 있어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

현재 도내 511곳의 교차로 신호 가운데 258곳의 신호가 ‘직진 후 좌회전’으로 변경됐다. 짜증 행렬의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직진 후 좌회전 신호체계가 제주의 도로여건을 무시해 일방적이고 획일적으로 도입됐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직진 후 좌회전’은 편도 4차선 이상의 넓은 도로가 나 있는 대도시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200~300m 마다 교차로가 나오는 제주에는 역효과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도로별 구조나 여건, 교통량 등이 다른 데도 일괄적으로 신호체계를 유도한 탓에 교통흐름을 저해하고 있다.

새 교통신호체계의 도입이 2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정착되지 못한 채 개선 효과는 답보상태다.

급기야 교통정체를 호소하는 민원이 이어지자 경찰은 일부 구간을 예전 신호체계인 동시신호로 환원했다. 실제로 변경 일주일째를 맞은 연북로 교차로 3곳은 차량 흐름이 빨라져 효과가 벌써 나타나고 있다.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신호체계 변경에 따른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는 것은 당국이 지역별 교통 흐름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로사정을 감안하지 않고 무리하게 시행한 데 그 원인이 있다면 마땅히 실정에 맞게 보완해야 한다. 새 신호체계의 도입으로 초래하는 불편과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