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탑동 공유수면 추가 매립의 과제
제주시 탑동 공유수면 추가 매립의 과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윤정수 제주대학교 교수 / 논설위원
해안매립은 항만부지, 공업단지, 농업용지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안에 제방을 축조하여 파도와 해수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하는 행위로써, 이와 같은 해안매립은 국토를 확장시켜 국가기간시설을 확충하고 각종 자연재해의 방지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국민적인 동의가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초기에 인식하지 못했던 인근지역의 소중한 자연환경과 생태계에 회복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훼손되고, 수산자원이 감소하며서 공유수면 매립을 둘러싼 각종 갈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전 국토의 3분의 1의 평균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의 경우 태풍과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국토를 보호하고 부족한 농업 및 도시용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오래전부터 간척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간척사업은 연안 지형과 환경을 연쇄적 변화를 야기시켰고, 생물 서식지의 훼손, 해수유동의 변화에 따른 오염자정능력의 감소, 홍수때 방조제 유실에 의한 각종 피해와 보상 등을 둘러싼 갈등과 비용 문제로 간척사업이 중단되었다.

전국토의 약 73%가 산지여서 개발 가능한 토지가 부족하고 태풍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에도 토지부족을 해소하고 자연재해로부터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활발한 간척사업이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일본의 이러한 연안매립과 임해공업단지의 조성을 많은 환경적인 재앙을 불러왔다고 지적되고 있다. 그 예로서 해류의 유동이 약하고 많은 섬들이 집중 분포하고 있는 세토내해(???海) 지역은 해안매립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심한 해안침식과 생태계가 파괴되고 수산자원이 감소 뿐만 아니라 조성돤 공단지역으로부터 오염물질의 유입에 따른 수질악화 같은 예상하지못한 문제로 사회적인 큰 이슈로 부각되기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이른바 ‘서해안 개발’ 이라는 명분아래 갯벌을 매립하여 공장를 짓고 도시를 건설하고 하구에 둑을 만드는 등 연안지역에서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갯벌 생물들이 서식지가 파괴되고 오염되어 한반도 주변의 연안 생태계중에서 인위적인 간섭을 가징 많이 받는 곳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제주의 경우 탑동 앞바다에 공유수면 31만8500㎡를 매립하고 방파제 1181m와 방파용 호안벽 789m를 새로이 축조하여 200여척 수용규모의 요트계류장을 조성하는 공유수면 매립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개발이익 사유화와 환경파괴 문제로 어민과 환경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연안지역은 육상과 해양환경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고있는 전이환경(transition zone)지역으로 항시 파랑, 조석, 바람의 영향을 받아 부단한 유동상태에 있어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이다.

따라서 연안지역을 따라 넓게 발달되어 있는 조간대는 그 위에 서식하는 수많은 동식물로 인하여 바다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영양창고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다.

또한 해안지역은 경관감상, 낚시 등 우리들에게 휴식과 위락의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기도하다.

특히 탑동해안 서쪽 주변에는 용두암 기암괴석을 비롯하여 먹돌로된 자갈해변과 화산폭발시 용암이 유출하여 바닷물과 접하고 할퀴면서 만들어낸 침상용암, 새끼구조용암(ropy rava), 파식대지 등 다양한 지질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탑동해안 지역을 추가로 매립하여 마리나항과 각종 편이시설을 조성하느냐, 아니면 해양의 영양 공급원과 자연자원으로 그냥 두느냐 하는 문제는 신중히 접근해야 할 대상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