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산업구조 허약체질, 돌파구 찾아야
제주 산업구조 허약체질, 돌파구 찾아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산업구조가 약골 신세다.

통계청이 그제 발표한 ‘지역별 사업체 현황 및 특성’조사 결과가 그를 뒷받침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말 기준 도내 사업체 수는 4만6000개로, 전국(335만5000개)의 1.4%를 차지했다. 제주의 GRDP(지역내총생산)가 전국 1%인 점을 감안하면, 그 수가 일단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도내 인구 1000명당 사업체 수는 86.7개로, 전국 평균(69.9개)을 크게 웃돌며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그것도 종사자 5인 미만 영세 사업체의 비중이 전체의 84%고, 그 대부분은 또 개인이 운영하는 형태다.

그렇다면 이들 사업체들의 매출은 어떤가. 같은 기간 도내 전체 사업체의 연간 매출액은 25조6270억원으로, 전국(4332조2930억원)의 0.6%를 점유하는 데 그쳤다. 사업체 당 매출액이 5억5900만원으로, 전국 최저치 수준인 것이다.

사업체 수가 시장규모에 비해 과다하니 매출이 감소할 건 당연하다. 좁은 지역에 난립한 영세 사업장, 그로 인해 노정(露呈)된 수익성 악화가 제주 사업체의 현주소라 할 것이다. 제주 산업구조의 구조적 취약성과 허약한 체질을 말해주는 우울한 지표다.

도내 산업구조는 이러한 규모의 영세성 및 과당 경쟁과 함께 특정 업종 편중이라는 취약성을 지닌다. 숙박·음식업이 1만1000개로, 전체 25%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한다.

제주지역 산업구조는 이러한 3가지 악순환 고리가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그런 구조적 취약성이 소득 감소와 실물경제 침체 등으로 이어지며 지역경제의 저성장 기조를 고착화한다는 데 있다.

저성장이 지속되면 투자 저하-일자리 감소-소비 위축의 악순환을 거듭하며 지역경제 전반이 침체될 수밖에 없다.

제주경제가 저성장의 수렁에서 벗어나는 길은 달리 없다. 허약한 경제체질을 바꿔야 한다.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신성장산업의 육성을 통해 지역경제의 역량을 근본적으로 강화해야 할 것이다. 투자 유치를 촉진하고 기업하기 좋은 제주를 만드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