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지 vs 지방지
중앙지 vs 지방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한영. 제주해녀문화보존회 대표
최근 중앙지나 중앙방송에서 지방소식의 비중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중앙 집권적 사회구조 속에서 중앙의 일방적 우위와 강력한 시장 지배력 때문이다. 의도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중앙매체에서는 지역적인 여건이나 특성 그리고 의식이 지배하는 지역적 일상과 현실이 무시되곤 한다. 사회 각 분야가 그렇듯 중앙 집중적 언론보도 경향은 주요 수요층과 뉴스가치의 측면에서 보면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중앙매체의 태도와 매체 환경 때문에 역으로 지방매체의 필요성이 반증되기도 한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고 동시에 지방정치가 생성되면서 다양한 여론이 제기되고 지역주민들도 자신이 속하고 있는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지방 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가 더욱 절실해 졌다. 지방자치제는 각 지방의 자주적 역할이 요구됐고 이에 맞춰 자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방신문의 적극적인 역할 또한 요구 됐다. 지방 언론은 언론의 중앙집권화 현상 속에서 지방분권적 언론을 지향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날 제주일보가 걸어온 길이 그랬었다. 천편일률적인 소위 4대 중앙지의 헤드라인과 달리 제주일보는 1면에 제주도의 뉴스가 항상 헤드라인을 장식 하고 있었다. TV, 라디오, 중앙지에서 듣지 못하는 제주도의 소식과 제주도민의 이야기로 가득 찬 그야말로 ‘제주일보’였다.

그러던 제주일보가 얼마 전 부도를 맞았다. 부도란 사전적 의미로 ‘어음이나 수표를 가진 사람이 기한이 되어도 어음이나 수표에 적힌 돈을 지급받지 못하는 일’을 말하며 기업이 어떤 이유에서 금전적 약속을 이행하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제주일보사도 지난해 제주시 연동 사옥을 롯데호텔에 330억 여 원에 매각하고 제주시 애월읍 광령부지로 사옥을 옮기는 등 재정 건전성을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우리 국민은 신문이 위기에 처하면 너 나 할것 없이 발 벗고 나선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70년대 ‘동아일보의 백지광고사태’를 기억하는가? ‘자유언론 실천선언’으로 ‘미운 털 박힌’ 동아일보가 정부의 광고주 압력으로 광고를 수주 받지 못해 백지 광고를 내고 있을 때 우리 국민들은 누구 할 것 없이 점심값을 아껴 성금을 보내고 익명의 격려 광고로 힘을 실어 주었다. 1980년대 ‘6만1866명의 국민주로 창간한 한겨레신문을 기억하는가?’ 자유언론수호와 민주화 운동으로 해직된 해직 기자들이 국민의 언론을 만들기를 염원할 때 6만1866명의 일반 국민의 도움으로 한겨레 신문을 창간했다.

제주일보는 창간 67년 하고도 67일 되던 지난 6일 8000만원의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처리 됐다. 지난 11일 제주일보비상대책위원회는 지면을 통해 제주일보의 부도사실과 빠른 대책을 강구할 것임을 알렸다. 제주일보비대위는 최종 부도처리에도 불구, 신문 정상 발행에 매진할 것을 약속했다. 제주일보비대위는 “어떤 어려움과 시련이 있더라도 신문 정상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사회적 공기로서 언론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건국일보다도 더 긴 창간 67년의 정통성 있는 한 언론사의 부도가 여느 기업의 부도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67년간 제주도민을 위해 묵묵히 일한 제주일보를 위해 제주도민으로서 할 일을 생각해 본다. 제주도민을 중심으로 도민주를 모집하고 도민 스스로가 ‘제주일보 보기’ 캠페인을 하면 어떨까? 제주기업들도 제주일보 광고에 더욱 적극적이면 어떨까? 제주특별자치도의 위상이 제주일보와 함께 영원하길 기원하며 마음 속으로 응원을 보낸다. ‘힘내세요! 제주일보, 사랑해요! 제주일보’ 라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