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인과 통합
제주인과 통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인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나요?” “제주사회의 통합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1주일 전 ‘120만 내외 제주도민의 화합과 재외도민의 역할 제고를 위한 대토론회’에서 던져진 화두이다.

새해를 맞아 ‘대통합’ 키워드를 떠올리자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재외제주특별자치도민회총연합회(회장 양원찬)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제주대 사회과학연구소 주관으로 마련한 이날 행사가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이날 토론자들이 털어놓은 ‘누구까지 제주인인가?’라는 질문은 눈길을 끌었다.

제주 출신 중앙부처 공무원 모임인 제공회 김봉현 회장(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정관·차관보)은 제공회장을 맡게 될 때 ‘제주도 사람으로 인정해주어야 하느냐’라는 내부 토론회가 있었다는 뒷이야기를 꺼냈다. 김 회장이 제주에서 태어난 후 초등학교를 마칠 즈음 서울로 떠났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김 회장은 “거의 600년동안 조상들이 제주에서 살아왔고, 뼛속까지 제주인인데 자격을 놓고 문제가 됐다는 게 황당했다”고 당시 상황을 소개했다.

고상홍 일본 관동도민회 상임고문은 “재일교포 3~4세들이 일본학교를 다닌다. 제주 언어와 문화·역사를 모르는데 제주인이라는 아이덴티티를 갖출 수 있느냐”며 심각한 고민을 토로했다.

이창익 제주대교수(재일제주인센터장)는 “재일제주인 3~4세와 대화를 하다보면 가슴이 무너지는 느낌이 든다. 고향이 어디냐고 물으면 당연히 제주도 어느 마을을 답할 줄 알았는 데 오사카, 도쿄가 들려온다”며 “그동안의 무관심을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

유영신 누리커뮤니케이션대표는 “제주에서 살아온 지 22년 지났지만 여전히 아웃사이더 같다. 태어난 곳이 제주인 사람들과는 ‘경계인’이 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이어 사업을 하다보니 도내에서는 제주 출신인지를 검증받게 되는 차별을, 도외에서는 사업체 본사가 제주에 있다는 이유로 불이익에 노출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또 ‘갈등 해소와 통합 방안’에 대한 의견도 쏟아졌다.

지방선거 이후 해를 거듭할수록 심화되는 갈등 치유를 위한 ‘통합의 리더십’이 무엇보다 요구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선거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공무원과 사업자 ‘줄세우기’를 근절하기 위한 인사제도 개혁과 공정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역량을 가진 제주 출신 인재들을 활용하는 적극적인 거버넌스, 제주인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2년간 중단된 ‘글로벌 제주상공인대회(제상대회)’의 발전적인 부활도 제안됐다.

아울러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드는 도민 의식의 향상, 글로벌 시민 의식 교육의 확대, 도외 지역과 해외 출향인사 후세에 대한 교류 강화 및 언어·문화 교육 확대 등 차세대 육성, 재외도민 특별보좌관 도입 등도 제시됐다.

이날 토론의 내용은 도외 출향 인사, 해외 교포 후세, 이주민들마다 제주인에 대한 개념 정립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도민 사회와 제주인 내·외부 간 갈등 해소의 시급성도 요구됐다. 물론 여기에는 제주 사회의 폐쇄적 사고와 무관심에 대한 자성, 열린 개방적 자세를 전제로 하고 있다.

제주가 인구나 경제 규모 등에서 부정적인 의미의 ‘대한민국의 1%’에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시대정신으로 약속한 ‘국민통합’을 이끌어가는 1%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다가설 날이 기다려진다.

이날 사회를 맡은 이문교 제주언론인클럽회장이 마무리 발언에서 당부한대로 토론회 내용이 도백에게 전해진다면 올 한해 제주는 해묵은 갈등 대신 통합의 해가 환히 비출 것으로 기대된다.<김재범 사회부장대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