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모자의 나라
<춘하추동>모자의 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795년 봄, 정조대왕이 화성(華城 ·현재 수원)으로 나들이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이다.

이 내용은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함께 아버지 사도세자가 묻힌 묘소를 참배하고 또 어머니의 회갑연을 열어주기 위해 나들이한 행사다. 이 책은 방대한 그림과 설명으로 이루어져 보는 이마다 저절로 감탄을 하게 한다.

그런데 이 정조대왕의 행차를 구경하는 길가의 남녀노소들이 저마다 모두 머리에 뭔가를 쓰고 있다.

▲19∼20세기 초 조선에 온 서양인들이 남긴 기록을 보면 한결같이 우리나라를 ‘모자의 나라’로 표현했다.

1905년 앙리 갈리가 쓴 ‘극동전쟁’이란 책에는 ‘조선의 모자는 4000종에 달할 것’이라고 적었고 이에 앞서 1892년에 조선에 왔던 샤를 바라는 ‘튜르 드 몽드’라는 책에서 “조선은 모자의 왕국”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있다.

이 프랑스인은 조선의 모자에 대해 이런 평가를 내리고 있다.

“조선 사람들의 모자는 공기와 빛이 알맞게 통하고 용도가 각양각색이다. 조선의 모자 패션은 파리사람들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실제 조선시대의 모자는 다양했다.

신분에 따라 차이가 난 것은 물론이고 예복용과 일상용 의식용 등이 각기 달랐기 때문이다.

비가 오면 쓰는 비모자, 눈이 오면 쓰는 눈모자도 있었다.

평민들은 재료도 여러 가지를 이용해 초립, 마미립, 죽직립 등이 있었고 상중일 때도 굴건과 상립을 썼다.

임금님이 쓰던 것만 해도 의식용인 면류관(冕旒冠), 집무용인 원유관(遠遊冠), 일상용인 익선관(翼善冠)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 문무관 및 선비용도 사모(紗帽), 갓(笠), 유건(儒巾), 전립(氈笠) 등 가지가지였다.

▲흔히 하는 말로 의관(衣冠)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은 옷과 모자를 때와 장소에 맞추어 입고 쓰라는 의미였다.

의관을 갖추면 마음가짐도 달라진다고 했다.

서양인들을 그처럼 감탄시켰던 각양각색의 모자는 단발령 선포에 이는 서양문물 유입과 함께 급속히 사라졌다.

그런 우리나라가 이제 다시 세계인들로부터 ‘모자의 나라’로 불린다고 한다.

신문보도를 보니 우리나라가 모자수출 1위국이라고 한다.

조상들의 모자 만드는 솜씨가 제대로 발휘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