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해결’약속 넘어 실천을
‘제주4·3해결’약속 넘어 실천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65주년 제주4·3사건 희생자 위령제가 그제 봉행됐다.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엔 이날 4·3 영혼을 기리는 추모 행렬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줄을 이었다. 긴 세월이 흘렀지만 추모객들의 구구절절 사연을 들으면 안타깝기만 하다. 4·3 당시 10여 명의 가족과 친척이 희생됐다는 한 유족은 3, 4월만 되면 술만 많이 마시게 된다고 토로했다. 억울하고 서글픈 삶을 술로 달래는 유족들이 어디 한둘일까.

새 정부 들어 처음 열린 이날 행사에 정부 대표로 정홍원 국무총리가 참석해 추도사를 했다. 그는 “4·3 위령제가 열리고 있는 이 곳은 민족분단이 빚어낸 우리 현대사의 비극을 화해와 상생의 정신으로 극복해낸 역사의 현장”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이 약속한 4·3사건 국가추념일 지정과 4·3평화재단 국고지원 확대를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우리는 그 말이 더 이상 약속에 머물지 않기를 바란다.‘4·3의 완전한 해결은 국가추념일 지정부터’란 이번 위령제의 주제를 정부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조만간 실천하겠다는 것으로 십분 이해하고자 한다.

도민사회는 이번 위령제에 박근혜 대통령의 참석을 기대했다. 박 대통령이 직접 추모 행사장에서 그런 정부 방침을 피력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랬더라면 박 대통령이 대선 기간 약속한 ‘4·3의 완전 해결’이라는 공약의 진정성을 확인케하고, 그 의지를 입증하는 더 없는 계기가 됐을 것이다. 무엇보다 대통령의 참석은 4·3으로 위축되고 한(恨) 많은 삶을 살아야 했던 도민과 유족들에게 한 줄기 위안과 희망이 됐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대통령의 불참은 아쉽다.

하지만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라는 안보상의 중대 상황을 고려하면 그 사정을 이해 못할 바도 아니라고 본다.

대통령 보다 무게감은 떨어지지만 정 총리의 언급 역시 정부 차원의 약속이고, 대통령의 공약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제는 실천으로 보여줄 때다. 내년 66주기 추모 행사는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첫 국가추념일이길 기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