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사 출범 1년 자립기반 갖춰야
에너지공사 출범 1년 자립기반 갖춰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는 전국에서 가장 좋은 바람(풍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하수인 ‘삼다수’처럼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이유다. 도민을 먹여 살리는 미래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키우기에 충분하다는 뜻이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해 7월 제주에너지공사를 설립한 건 그래서다.

에너지공사의 주된 역할은 제주의 바람을 미래 동력으로 활용하고 풍력자원을 공공관리하면서 개발이익을 도민에게 환원하는 것이다. 제주 에너지산업의 컨트롤타워로서 ‘제주 풍력자원의 가치화·자원화’를 도모한다는 얘기다. 제주도 등으로부터 양수받은 행원·신창·가시리·김녕 등 기존 풍력단지의 전력 판매 수익금이 주요 재원이다.

이런 에너지공사가 어느덧 창립 1주년을 맞는다. 출범 초기 발전기 고장과 예산 부족, 현물출자 차질 등 3중고에 시달렸지만 빠르게 이를 극복, 연착륙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그러나 원년 경영실적은 기대치를 밑돌았다. 사실상 적자를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나서다.

에너지공사가 작년 전력 판매 등을 통해 거둬들인 영업수익은 24억400만원에 그쳤다. 반면 인건비와 판매·관리비 등의 영업비용이 26억5100만원에 이르러 2억4700만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그나마 제주도 등에서 지원하는 보조금 수익 8억4150만원과 영업대행 수익 5억6200만원 등 영업외수익이 14억6000만원에 달하면서 영업적자를 메웠다.

결과적으로 2억20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외형면에서 흑자경영의 성과를 올렸다. 그렇지만 내용적으론 보조금 수익이 없었다면 적자였다. 이른바 ‘의존형 흑자 구조’인 셈이다. 그만큼 자립기반이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첫술에 배부를 순 없다. 그럼에도 수익 확대는 매우 중요하다. 대규모 풍력 개발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선 안정적인 재원 확보가 필수다. 그래야 차입금 부담을 줄일수 있어서다. 때마침 에너지공사는 올 하반기에 600억원을 투입해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일대에 30㎿ 규모의 육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을 착수한다. 특단의 경영개선 방안이 요구되는 건 그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