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돌문화공원 & 해녀박물관의 제주적 가치
<시론>돌문화공원 & 해녀박물관의 제주적 가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관광행태는 변하게 마련이다. 관광객의 관심은 일시적으로 즐길 수 있는 관광자원에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지역에 몰입할 수 있는 생생하고 진정한 지역문화로 옮겨지게 된다. 마치 어린애가 만화를 즐겨 읽다가 점차 수준이 높은 문학과 역사책을 읽게 되는 경로와 같다. 이처럼 관광객은 지역주민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지역 내에서 구축해온 전통문화와 친근한 눈길을 주어온 환경문화를 체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짙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지역주민들이 살아오면서 애환이 깃든 환경문화는 관광의 대상이 되고, 또한 환경문화의 유지 ·존속이나 새로운 환경문화의 창조로 이어져 관광지 정비의 조건이 된다. 따라서 관광객은 단순관광에서만 만족을 찾기보다는 지역문화에 접촉하거나 그 일단(一端)을 체험하고 지역문화에 몰입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래서 지역의 과제는 관광객이 관광대상으로 삼는 ‘지역 그 자체’의 매력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존속시키며 정비해 나가느냐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오는 3일, 9일 각각 개원 ·개관하는 돌문화공원과 제주해녀박물관은 제주도 환경문화와 생활문화의 기념비적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돌이야말로 제주도 환경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가장 흔하면서도 독특한 자연물이고, 제주여자하면 연상하게 되는 해녀의 발자취는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생활문화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돌박물관은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의 슬픈 전설을 모태로 돌, 흙, 나무, 쇠, 물 등 5가지 주제의 독특한 테마공원으로 집대성해 가장 제주다운 환경문화의 상징으로 조성하였다. 이 사업은 2020년까지 1, 2단계로 나눠 1852억원이 들어가는 대역사로서 이번에 마무리되는 1단계 사업은 411억원이 투자되었다. 그 곳에 가면 무엇보다 1만 5000여 점의 제주 자연석과 돌민속품 그리고 민구류 등 그 문화자원의 규모에 압도당하게 된다.

평범하게만 느껴졌던 제주 자연석들이 여기에서는 신의 조화로 둔갑이 되고, 제주도민들의 애환이 깃든 돌민속품과 민구류들은 투박하면서도 지혜로운 당시의 생활상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단언컨대 돌문화공원사업은 지금까지 제주도가 개발한 관광자원 중에서 가장 차별화된 사업이자 제주도를 가장 잘 표현한 진면목이라 할 수 있다.

해녀박물관은 생활문화의 현장이다. 우리는 제주여자인 해녀들이 남긴 여러 가지 생업도구와 문화유산들을 발굴하고 보존하여 후세들에게 교육하고 전승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는 특히 해녀라는 존재가 제주인의 여성관과 직업관, 신앙, 경제 등에 이르기까지 제주인의 전통문화에 끼친 영향을 이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문화관광 발굴이라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높다.

돌문화공원과 해녀박물관 건립은 모두 북제주군이 앞장서 추진해왔다. 그 누구도 하지 못했던 것을 북제주군은 해냈다. 덕분에 이제까지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제주만이 갖고 있는 차별화된 문화를 보여줄 수 없었던 부끄러움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아이디어 차원에만 머물렀던 이번 사업을 앞장서 일구어낸 북제주군의 노고에 진정한 박수갈채를 보낸다.

관광상품의 차별화란 ‘남과 구별되는 독특하고 가치 있는 것’을 이른다. 즉, 다른 경쟁관광지에서 체험할 수 없는 것이면서 동시에 관광객에게 가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차별화가 잘 되고 있는지 그 성과를 확인하려면 가격을 올려도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지를 살펴보면 된다. 그러나 제주도는 이미 그 실험에서 실패했다. 비싼 항공료와 숙박비를 치르고도 후회 않는 제주도만의 블루오션 관광상품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제 돌문화공원과 해녀박물관이 그 표본이 되고 새로운 발상의 전환점이 되었음 하는 마음 간절하다.<양창식 탐라대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