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
기형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올해로 40주기를 맞는 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려는 문단·학계·출판계의 다양한 작업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기도 한 장시 ‘한라산’은 시인 이산하씨(28)가 지난 해 3월 무크지 녹두서평1에 발표한 원고지 200장 분량의 장편연작시 1부다. 이 시와 관련, 지난해 4월 녹두출판사 대표 김영호씨와 편집장 신형식씨가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된 이후 10여 차례 공판을 통해 법정사상논쟁을 벌인 바 있다.

“수배 중이던 이산하씨는 지난해 11월 11일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됐고 그의 부친은 그가 구속되자 이틀 후 충격으로 세상을 떠났다.“(1988년 3월 30일자 중앙일보)

때로는 아주 작은 신문기사 한 줄이 역사의 기록일 때가 있다.

4·3사건을 다룬 이산하의 장시 ‘한라산’이 문학의 표현과 자유문제를 놓고 법정공방을 일으키며 문단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는 신문 기사의 일부다.

지금은 가고 없는 중앙일보 기형도 기자가 이 기사를 썼다.

▲기형도.

1989년 스물아홉의 나이로 타계한 그는 기자 이전에 시인이었다. 서울의 한 심야극장에서 작고한 그는 유고시집 ‘입속의 검은 잎’으로 독자들이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힘없는 책갈피는 이 종이를 떨어뜨리리/ 그때 내 마음은 너무나 많은 공장을 세웠으니/ 어리석게도 그토록 기록할 것이 많았구나”(‘질투는 나의 힘’ 일부)처럼 타계하기 전까지 치열하게 살았다.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빈 집’ 전문) 굳이 그리움으로 되돌아보는 사랑이라는 정공법적인 해석 외에도 지금도 많은 독자들의 심금을 가두는 시다.

▲물론 제주에도 그의 시를 좋아하는 독자들이 많다.

우울한 유년시절과 부조리한 체험의 기억들을 따뜻한 공간에 펼쳐보인 그의 시 때문이다.

지난 16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그의 시비 제막식이 있었다. 뇌졸증으로 급사한 지 17년 만이다. 유고시집은 해마다 1만 부 이상 판매되고 있다. 지금까지 40여 만 부가 팔렸다.

우리에게도 이만한 시인이 있어 다행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