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혁신도시 시대 개막
제주혁신도시 시대 개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편집자주>제주혁신도시 기반시설 공사가 9월 현재 99.5%의 공정률을 보이는 등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오는 12월 중 모든 기반 조성사업이 종료되면 내년부터 서귀포시 지역에 새로운 도시가 탄생한다. 제주혁신도시의 출발을 앞두고 혁신도시 현황과 함께 도시 조성에 따른 기대효과 등을 짚어본다.

▲혁신도시 조성 현황
서귀포시 신시가지 동쪽 서호동과 법환동 일원 115만1000㎡(약 35만평) 규모에 조성되고 있는 제주혁신도시 기반시설 공사에는 2939억원이 투입됐다.

국립기상연구소 등 9개 공공기관을 비롯해 주택 1840호(단독 156호, 공동 1684호)가 들어서는 것을 비롯해 상가 등 주민 편의시설 등이 들어선다. 수용인구는 5100명으로 계획됐다.

반경 1㎞ 이내에 서귀포시청 2청사, 서귀포경찰서, 초등학교, 시외버스터미널, 대형할인마트 등이 들어서 있다.

기반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가운데 입주 예정인 각급 청사 건물도 곳곳에 들어서고 있다.
국토교통인재개발원이 지난해 12월 전국 혁신도시 중 처음으로 제주혁신도시에 이전을 완료한데 이어 국립기상연구소 청사도 지난 6월 15일 준공했다.

지난해 11월 착공에 들어간 공무원연금공단 신청사도 9월 현재 23%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국세공무원교육원, 국세청기술연구소, 국세청고객만족센터 등 국세청 산하 3개 기관도 2015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지난 7월 17일 신청사 합동 착공식을 가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연수기능)도 청사 신축을 위한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 오는 12월 착공된다.

다만,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은 부지 매입을 위한 예산 확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건물을 임차해 입주하는 방식으로 이전 계획이 변경됐다.

9월말 현재 주택용지 159필지, 상업용지 16필지, 공공청사 용지(서귀포해양경찰서) 1필지 분양이 완료됐고, 혁신클러스터용지 중 이전 공공기관 부지 7필지 분양이 완료됐다. 다만 혁신클러스터용지 중 산·학·연클러스터 5필지는 분양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혁신도시 입주민을 위한 공동주택 공사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LH공사가 2011년 착공에 들어간 제주혁신도시 1차 아파트의 경우 450세대 분양이 완료됨에 따라 2014년 1월부터 입주가 시작되며 지난 7월 착공된 2차 아파트 548세대는 2015년 준공된다. 민간사업자인 ㈜부영도 684세대 규모의 아파트 조성 공사를 진행 중이다.


▲기대효과

제주혁신도시가 완성되면 인구 유입에 따른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귀포시는 이전기관 종사자와 가족들, 신산업 및 도시화에 따른 유입 인구를 포함에 오는 2020년까지 혁신도시 인구가 51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분양이 완료되거나 조성 중인 공동주택(1682세대), 단독주택(156세대) 입주자들을 감안한 것이다.

오희범 서귀포시 도시건축과장은 “제주혁신도시 이전기관 직원들을 우선으로 해 공동주택 특별분양이 이뤄지고 있다”며 “단독 및 공동주택 공사가 마무리되면 인구가 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H공사도 9개 공공기관 입주가 마무리되면 혁신도시가 지역내 새로운 성장동력의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석환 제주혁신도시사업단장은 “국토교통인재개발원과 국세공무원교육원 등 2개 교육기관을 찾는 교육생만 연간 7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기존 택지개발과의 차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일부 시민들과 전문가들은 혁신도시 건설 사업이 기존 택지개발 방식과 차별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주시 신시가지 개발 이후 구시가지가 공동화되면서 사회적인 문제점을 불러일으킨 것처럼 장기적으로는 서귀포시 구시가지 인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김태일 제주대학교 교수(건축학 전공)는 “신시가지 활성화를 위한 전제로 혁신도시 기능이 부여됐어야 했다”며 “고층 숙박시설 중심의 개발 방식으로 혁신도시가 완성되면 장기적으로주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연수원과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단기체류자에 불과하다. 이들에 의해 파급되는 지역경제 효과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지역 발전에 한계가 있다”며 “전원형 주택과 연수원 등으로 도시 완성도를 높이는 등 기존 택지개발과는 다른 스케일의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김문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