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과 인삼
홍삼과 인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남지영 한의사
   

홍삼(紅蔘)은 무려 1000년쯤 전인 고려시대 때부터 만들어졌다. 산삼(山蔘)이나 인삼(人蔘)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이다. 다른 나라에도 인삼이 있지만 유독 한국산 인삼이 효과가 좋다. 당시에도 고려인삼(高麗人蔘)은 해외 각국에 약효가 좋은 것으로 유명세를 떨쳤다. 특히 중국으로 많이 수출되었다. 그 시절에는 우리나라에서 중국까지 운반되고 유통되기까지 빠르면 몇 달, 늦으면 몇 년 걸리기 일쑤였다. 생것은 썩기 일쑤고, 말린 것도 생각보다 쉽게 상하거나 벌레가 끼었다. 삼(蔘 : 산삼·인삼)의 유통을 위해 연구한 결과 탄생한 것이 홍삼이다. 홍삼은 인삼을 찐 다음 말린 것으로 20년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인삼의 주요 성분은 사포닌(saponin)이다. 인삼의 사포닌은 일반적인 사포닌과 화학구조가 다르며 약효 역시 달라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불린다. 사포닌은 항염과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크다.

 

인삼에 열을 가하면 Rg1, Rb1, Rg3 같은 고기능 사포닌이 증가한다. 쉽게 말해 효과 좋은 사포닌 비중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인삼을 찌는 과정에서 인삼진액의 소실이 크다. 따라서 홍삼을 만들고 나면 약효성분이 상당히 빠져나가게 된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유효성분이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홍삼은 인삼보다 효력이 적고 부작용도 덜하다. 효과도 서서히 볼 수 있고 부작용도 천천히 나타난다.

 

한의원에서는 홍삼보다는 주로 인삼을 사용한다. 인삼이 효과가 훨씬 좋기 때문이다. 한의원은 의료기관이기 때문에 식약처 기준에 의거해 제약회사의 엄격한 검사를 거친 약재만 입고된다. 인삼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삼도 약이기 때문에 당연히 부작용이 있지만, 한의사는 국가에서 의료인 면허를 부여받아 인삼의 부작용을 컨트롤하면서 인삼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다른 약재들과 함께 처방을 하고 있다. 장기간 똑같은 제품을 천편일률적으로 복용한다면 효과도 볼 수 있겠지만 부작용도 반드시 누적된다. 따라서 체질과 증상에 맞게끔 ‘맞춤약’을 구성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수시로 체크하며 약을 바꿀지 그대로 복용할지 정하는 것이 좋다.

 

전문가와 상의하고 약을 복용하는 것이 어렵다면 건강 향상을 위해 기능식품을 복용하는 것도 좋다. 그렇지만 꼭 제품 뒷면을 확인해야 한다. 약재의 원산지는 어디인지, 적절한 검사를 거친 것인지, 그 약재가 과연 몇 퍼센트나 들어 있는지, 만약 부작용이 생긴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지 확인하고 복용해야 안전하다.

 

참고로 산삼(山蔘)은 산에서 자연적으로 나는 삼이고, 인삼(人蔘)은 사람이 재배한 삼이다. 수삼(水蔘) 채취한 그대로의 인삼, 백삼(白蔘)은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인삼, 홍삼(紅蔘)은 찐 다음 햇볕에 말린 인삼을 일컫는다. 미삼(尾蔘)은 인삼의 가는 뿌리를 말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