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도 지방분권
언론도 지방분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신문·방송 지방에 거점…중앙언론 존재 힘들어

독일에서는 한국처럼 ‘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중앙 언론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신문이나 방송 모두 지방에 거점을 두고 있으며 지방 언론이 곧 중앙 언론이 된다. 지방화를 추진해온 독일의 현 주소가 언론을 통해서도 극명하게 드러난 셈이다.

방송의 경우 국영 방송사가 없다. 모두 주정부 소유며 권역별로 6개 지방 방송사가 연합해 국영방송 성격의 ARD 채널을 구성한다. 즉, 6개 방송사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뉴스나 드라마, 시사프로그램 등을 추려내 전국 채널을 통해 방영하는 방식이다. 6개 채널의 연합체인 ARD 본부는 베를린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부는 지방에 ‘감놔라 대추놔라’는 식의 본사가 아니라 각 지역 방송사가 만든 프로그램을 시간대별로 방영하는 단순 조정자 역할을 맡을 뿐이다.

신문 또한 옐로페이퍼 성격의 자이퉁지를 빼고는 전국지가 없다. 대신 지역마다 독자성을 가진 지방지들이 정보 전달자로서 역할을 맡고 있다. 뮌헨과 프랑크푸르트 등 주요 도시에서 발행되는 수십만부의 신문에서 발행부수가 몇 천부에 지나지 않는 마을 신문들이 신문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독일내 여론 형성층을 주 독자로 삼고 있는 고급 잡지인 슈피겔과 디차이트의 본사는 베를린이 아니라 함부르크에 있다.

독일에서 이처럼 중앙 언론이 존재하지 못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모든 기능이 전국토로 분산돼 있는 탓에 특정 지역에 기반을 둔 언론사가 전국을 대상으로 정보 전달자의 역할을 맡기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국 각지에서 주요 정보들이 쏟아지고 지역마다 독특한 경제.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는 탓에 특정 언론사가 이를 모두 담아내기가 어려운 것이다. 즉, 거대 중앙 언론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의 기능이 서울에만 몰려 있는 한국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또 정부내 기구인 카르텔국에서 거대 언론의 등장을 제도적으로 막고 있다. 시장 독점에 따른 정보 전달의 왜곡 현상을 막고 중.소규모 언론사의 생존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춘추6사공동
춘추6사공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