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전현장에 도착한 해군 초계함들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교전현장에 도착한 해군 초계함들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교전현장에 도착한 해군 초계함들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도주하는 북한 경비정을 따라가 끝내 격침시켰다면 남북 간 국지전으로 비화, 확전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29일 오전 10시43분 진해함, 제천함 등 해군 초계함(1200t급) 2척이 교전현장에 접근, 12~13㎞ 거리에 있는 북 경비정을 추격하면서 집중적인 포격을 가하기 시작하자 황해도 사곶에 위치한 북 해군기지에 정박된 유도탄정의 스틱스(STYX) 미사일의 레이더가 작동, 북한이 미사일 공격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정이 46㎞인 함대함 스틱스 미사일이 발사됐을 경우, 당시 NLL에서 약 13㎞ 이남에 있던 우리 해군 초계함들로서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북 해군기지인 사곶에서 NLL까지 거리가 31㎞이고, NLL로부터 해군 초계함들까지의 거리가 13㎞였던 것을 감안하면 이미 사정 안에 든 셈이다.
개량형인 C형 스틱스 미사일의 사정은 무려 80㎞에 이른다.
당시 해군 초계함들은 북한 스틱스 미사일의 레이더파를 교란하기 위해 긴급히 ‘채프’(은박 금속편)를 함정 주위에 뿌렸다.
3년 전 연평해전 때도 북 유도탄정의 스틱스 미사일 레이더가 작동했다.
만약에 북 유도탄정이 해군 초계함에 스틱스 미사일을 발사했다면, 다른 초계함이 함대함 미사일인 하푼으로 응사하면서 상황은 급격히 악화될 수밖에 없다.
동시에 옹진반도와 백령도 사이에서 남북 양쪽의 해안포가 불을 뿜게 된다.
북한은 황해도 해안 일대에 76.2㎜(사정 13㎞) 지상포와 100㎜(사정 21㎞)의 해안포를 배치해 놓고 있으며, 우리도 백령도에 첨단 해안포를 갖고 있다.
북한 등산곶 기지에 수기 배치된 지대함 실크웜 미사일(사정 95㎞)도 발사될 가능성도 있고, 우리측은 AGM 공대지 미사일 등으로 무장한 공군 전투기 KF-16들이 출격해 공중폭격을 통해 먼저 북한의 미사일 기지 및 해안포 기지를 제압해야 한다.
장산곶~해주 일대에는 스틱스 미사일을 포함해 사거리가 20~27㎞에 이르는 해안포 수십문이 배치돼 있다.
북한 8전대에는 경비정과 어뢰정, 화력지원정, 유도탄정, 지원정 등 70여 척이 소속돼 있고, 과일과 황주, 곡산 등 북한 3개 공군기지에는 미그 19, 21 등 150여 대의 전투기가 대기하고 있어 8~9분 내에 지원이 가능하다.
또 우리 해군은 백령도 해안에 배치돼 있거나 구축함(DD)에 장착된 사정 130㎞ 의 하푼으로 작전 중인 북한 함정들을 공격하게 된다.
이 정도로 상황이 진행되면, 국지전을 넘어 사실상 전면전 양상을 띠게 된다.
인천 해군전대 일부 및 서해안에서 작전 중인 함정 등에 대한 북한의 실크웜 미사일 공격이 감행되고 일본 요코스카항에서 미 해군의 이지스함이 서해로 급파된다.
이지스함은 순항미사일 토마호크로 북한 해주와 옹진반도 등에 흩어져 있는 북한의 실크웜 미사일기지를 공격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황이 더 악화되면 북한은 황해도 남쪽에 위치한 기지에서 서울 등 수도권 일대가 타격 범위에 들어가는 SA5 미사일(사정 250㎞)을 발사할 수 있다.
북한이 다른 보복수단을 강구할 경우에는 테러행위 등 비정규군을 활용한 공격과 극단적인 경우 생화학 무기를 사용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상황이 이렇게까지 흐르면, 육.해.공군 전군에 방어준비태세가 하달된 가운데 가장 높은 데프콘Ⅰ이나 Ⅱ가 내려지면서 작전권이 한미연합사로 넘어가고 계엄령이 선포됨과 동시에 사실상 전시체제에 들어가고, 전 예비군의 동원령도 내려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일보
제주일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