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제를 지내는 마음
마을제를 지내는 마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조상님으로부터 전승되어 온 민간신앙인 유교식 마을제는 매년 지내고 있는 정기제로 마을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정해진 법식에 따라 의례를 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을제는 포제, 동제(洞祭), 이사제(里社祭) 등으로 불린다. 유교식 마을제의 대상신은 마을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겠지만 토신(土神), 이사신(里社神), 가신(街神) 등이 있다. 여러 신위 중 하나만을 모시는 경우도 있고, 복수의 신위를 모시는 경우도 있다.

포신은 한 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드는 터주신위로서 일반적인 토지신과는 구분된다. 토지신은 어떤 국한된 좁은 지역의 신을 말하지만 토신이라 할 때는 특정한 그 마을의 신으로서 토지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지키는 신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을제 명칭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역시 포제이다.

포신은 오곡풍등(五穀豊登)과 육축번식(六畜繁殖)을 관장하는 농신에 해당된다. 토신을 포괄적인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면서도 토신제라 하지 않고 포제라고 하는 것은 농업을 위주로 하는 사회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포제는 불안한 삶 속에서 한 해를 시작할 때 마을 주민의 안녕과 앞으로의 삶에서 풍요를 기원하고 신의 보호를 받으면서 삶을 안정된 마음에서 영위하고자 치르는 것이다.

택일이 되면 이날의 자시가 바로 행제시(行祭時)가 되는 것이다. 마을에서 비교적 조용하고 정결한 곳에 마련해 둔 제단에서 지내는 것이 보통이다.

포제를 앞두고 각 마을에서는 주민총회를 개최해 제반사항을 결정하고 제관을 구성하게 된다. 제관은 대체로 12~14명으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제관으로 선출되면 일주일 동안 제청에서 합숙하며 재계(齋戒)하였다.

그러나 요즘에는 사흘로 줄였다. 이 기간 마을 입구에 금줄을 쳐 부정한 사람들의 출입을 막는다. 제관들은 마을 안에 있는 샘물에서 목욕을 하거나 제청에서 향물로 몸을 깨끗이 하였다. 제청은 부정할 염려가 없고 깨끗하며 여러 사람이 기거할 수 있을만큼 넓은 개인집을 골라서 선정한다. 요즘에는 포제단에 제청을 따로 마련하거나 마을회관 경로당 등을 제청으로 선정하고 있다.

포젯날 저녁이 되면 축문을 작성하고 필요시 예행연습도 한다. 오후 10~11시쯤이 되면 제물을 포제단으로 옮겨간다. 준비해 둔 희생(犧牲)을 먼저 올리고 나머지 제물을 진설한다. 제사는 보통 자시에 지낸다. 시간이 되면 제관들은 제복을 차려 입고 나와서 관수를 한다. 마을에 따라 삼헌관과 제관의 제복이 다른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같은 제복을 입는다. 제사의 순서를 적은 홀기(笏記)에 따라 제사를 진행한다.

포제를 지낼 때 개 소리, 소 울음 소리, 닭 소리가 들리면 좋지 않다고 믿었다. 이런 소리는 귀신을 쫓아버린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어서 불길한 징조라고 여겼다. 반면에 꿩이나 말 소리가 들리면 좋은 징조라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지내는 포제는 같은 지역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이웃들과 마을 주민으로서 정을 나누고 서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며 신의 보호 속에서 한 해를 살고자 하는 소박한 마음에서 치르고 있는 것이다. 마을마다 치르는 마을제를 통해서 불안한 마음을 털어버리고 안정된 마음에서 좀더 긍정적으로 삶에 매진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큰 보람이 어디에 또 있겠는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