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 새주소’제대로 알리고 있나
‘도로명 새주소’제대로 알리고 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어제부터 ‘도로명 새주소’가 법적 주소로서의 효력을 가지면서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다만, 시행 초기 혼란을 줄이기 위해 2011년까지 기존 지번(地番) 주소와 병행 사용하고, 2012년부터는 각종 공부(公簿)상 주소를 포함하여 모든 주소에 새주소만을 사용하게 된다. 새주소는 도로에 이름을, 건물에 번호를 부여하는 국제표준 주소체계다.

반면, 기존 주소체계는 일제가 1910년대 조세징수를 목적으로 토지에 지번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60, 70년대 개발시대 등을 거치면서 토지이용의 다변화로 지번이 복잡하고 무질서해지면서 위치를 찾는데 많은 불편과 시간, 경비가 소요돼 왔다. 따라서 새주소 도입은 선진국처럼 누구나 쉽게 목적지를 찾게 한다는 취지다.

이로써 새주소가 정착되면 위치탐색 등에 소요되던 막대한 비용이 절감되고, 각종 응급 서비스가 대폭 향상되며, 물류와 위치 정보서비스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나 문제는 정작 새주소를 사용해야할 도민들은 이를 아예 모르고 있다는 점이다.

솔선해야할 공공기관부터 외면하고 있으니, 일반 도민들은 물어보나 마나다. 당국이 새주소를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2001년 새주소 사업을 완료한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동(洞) 실정이 이 모양이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2009년까지 완료예정인 읍·면지역 새주소 사업이 그 실효성에 의문을 사는 것은 바로 이런 까닭에서다.

그렇잖아도 새주소는 당국이 선전하는 목적지 찾기 용이성, 주소 간결성, 정보처리 효율성 등의 효과가 장밋빛이라는 지적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기억해야할 도로명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주소는 외관만 바꿨을 뿐 지번주소 찾기와 힘들기는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물론 새롭게 시행하는 시점에서 혼란이 없을 수는 없다.

그러나 제주도는 그 이전 도민들을 계도할 상당한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 그런데 이제야 홍보에 호들갑이라니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당국은 깊이 각성하고, 새주소의 문제점을 하루속히 보완 개선하기 바란다.

도민 인지도를 높이는 노력이 급선무다. 그 자체만으로도 경쟁력을 제고 해 나갈 수 있는 기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