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왕자가 불행하게 울고 있다
행복한 왕자가 불행하게 울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동률. 서강대 MOT 대학원 교수 / 언론학
지난주 종강을 했다. 여름방학과 달리 겨울 방학 캠퍼스는 눈 내린 산사(山寺)처럼 적요하다. 나는 이제 몇 달 동안 내 나름의 동안거에 들어간다. 먼 훗날 서울거리 어디에서 문득 만나게 되겠지만 그래도 졸업을 앞둔 제자들과의 마지막 강의는 헤어짐으로 인해 묘한 느낌을 준다. 해마다 종강 날에는 나는 짧은 동화 ‘행복한 왕자’로 작별의 인사에 가름한다.

어느 늦가을 저녁, 따뜻한 남쪽을 향하던 제비 한 마리가 행복한 왕자의 동상 발등에서 잠을 청한다. 순간, 왕자가 흘리는 눈물에 놀란다. 살아생전 불행을 몰랐던 왕자는 동상이 돼 높은 곳에 자리잡게 되자 세상의 온갖 슬픈 일을 지켜보게 된다. 왕자는 제비에게 부탁해 자신의 몸을 치장한 보석을 떼 그들에게 나눠주게 한다. 보석을 가난한 이들에게 전해주기 위해 제비는 남쪽으로 가는 것을 포기한다. 그리고 그 일이 끝남과 동시에 얼어 죽는다. 봄이 오자 마을 사람은 한때 마을의 자랑거리였던 멋진 동상이 흉측한 무쇠덩이로 변해 있자, 창피하다며 부숴버렸다. 이 모습을 지켜본 하느님이 천사에게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두 가지 즉, 제비와 왕자의 심장을 가져오게 해 하늘나라에서 다시 행복하게 살게 했다는 줄거리다.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작가 오스카 와일드(1854~1900)가 쓴 동화다. 19세기 말 산업혁명과 함께 불어 닥친 당시 영국사회의 이기주의, 물질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하며 타인에 대한 사랑의 존귀함을 호소하고 있다. 당대를 주름잡던 유미주의자이지만 당시 영국의 지배를 받던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주로 영국에서 활동했던 와일드는 아일랜드 출신의 다른 저명 작가인 예이츠나 버나드 쇼 등과 마찬가지로 경계인의 삶을 살았다.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한 이래 빼어난 작품으로 일약 유럽의 명사가 됐다. 하지만 30대 중반 16세 연하의 옥스퍼드 대학생 알프레드 더글러스 경을 만나 사랑에 빠졌다. 요즈음 말로 성 소수자, 즉 동성애다. 당시 지배세력에 의해 외설로 단죄돼 2년 형에 처해지는 등 불행한 삶을 이어가다 1900년 파리의 한 호텔에서 사망한다.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속물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한 나머지 극도로 버림받은 삶이었다. 하지만 사후 100여 년 뒤인 1998년 영국 정부가 런던 트라팔가 광장에 그의 동상을 건립, 비로소 명성을 인정받았다.

유치찬란하게도 나는 동화 ‘행복한 왕자’를 무척 좋아한다. 그래서 런던에 갈 때면 반드시 와일드 동상을 찾는다. 이 불행했던 천재의 행복론을 읽으며 나는 우리 사회에서 사라져 가는 이타주의(altruism)를 안타까워 한다. ‘디지털 노마드’ 개념을 창안한 석학 자크 아탈리는 초연결망 사회에서는 이타주의가 미래의 세상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치 혼자만 전화기를 갖고 있다면 아무 소용 없는 것과 같은 이치. 곧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미래사회에서는 타인의 성공이 곧 나에게 도움이 되고, 타인의 불행이 나에게 재앙이 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 사회는 정반대로 가고 있다.

나는 ‘행복한 왕자’를 종강의 변으로 수강생들에게 들려줄 때마다 한 세기 전 와일드가 우리에게 던져 준 타인을 위한 삶에 대해 생각해 본다. “가엾은 제비는 점점 추워졌지만, 왕자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빵집 문 앞에 떨어진 부스러기 빵을 쪼아 먹고 양 날개를 파닥이며 몸을 녹이려고 했다. 하지만 제비는 자기가 곧 죽을 거라는 걸 알았다. 남은 힘을 다해 마지막으로 왕자의 어깨 위로 날아 올랐다. 제비의 몸은 차갑게 식어갔다.” 산타클로스를 철석같이 믿다가, 믿지 않다가, 스스로 산타클로스가 되는 것이 사람의 일생이다. 남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 왕자와 제비가 몹시도 그리운 한 해의 끝이다. 아듀 201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