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초기의 방어시설 수전소와 방호소
(8) 초기의 방어시설 수전소와 방호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왜구 침입 대비 판옥전선과 총포 등 갖춰
▲ 1893년(고종 30) 조천진 조방장이 상부에 보고한 서찰. 동복리에서 사공 김신호의 배를 점검한 후 출항(출포)를 허락했다는 내용이다.

연대와 봉수 방어체제가 완전히 정착되기 전인 1437년(세종 19) 제주목사 겸 안무사 한승순은 해안을 따라 방호소(防護所) 12곳과 수전소(水戰所) 10곳을 설치했다.

방호소와 수전소는 왜구의 침략에 대비한 것으로 수전에 대비해 판옥전선을 배치했다. 이곳에는 노를 젓는 격군과 포를 쏘는 사수가 주둔했다. 이와 함께 무기고에는 칼과 활, 화약, 총포를 보관해뒀다.

제주읍성 동쪽지역에는 건입포·조천포·김녕포 수전소와 조천관·김녕포 방호소가 있었다. 서쪽지역에는 벌랑포·도근천포구·애월포·명월포 수전소와 도근천·애월포·명월포 방호소가 설치됐다.

정의읍성에는 오조포 수전소와 오조포·서귀포 방호소가, 대정읍성에는 색포·모슬포·범질포 수전소와 색포·가내·범질포 방호소가 각각 배치됐다.

방호소와 수전소의 책임자는 조방장(助防將)이었다. 조방장은 주장(主將)을 도와 적의 침입을 방어한 종9품 관직이었다.

기록에 의하면 조방장은 무예를 갖춘 토관(土官:토착 지방관리)이나 이들의 자식을 주로 임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