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만 건설, 업적이 아니라 소통이다
공·항만 건설, 업적이 아니라 소통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재병 정치부장대우
최근 몇 년 사이 제주는 국내·외적으로 가장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으로 조명받고 있다.

제주에서의 새로운 삶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매년 크게 늘고 있고, 국내·외 관광객들의 발길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제주의 하늘 길과 바닷길은 날이 갈수록 꽉꽉 막히고 있다.

섬이라는 특성상 제주는 육상이 아닌 하늘과 바다를 통해야만 한다. 하늘과 바다가 막히면 제주는 그야말로 고립무원이 될 수밖에 없다. 당연히 공항과 항만은 늘 제주가 풀어야 할 쉽지 않은 숙제가 될 수밖에 없다.

정부 역시 제주의 공·항만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인식해 제주 제2공항과 제주신항만 건설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나 제주의 백년대계를 이끌 대형 국책 사업인 공·항만 건설이 거의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더욱 주목된다.

제주 제2공항 예정지로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가 결정됐고, 제2공항의 경제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제2공항 건설의 필요성이 확정되면 곧이어 기본계획 수립,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절차가 진행된다.

계획대로라면 2019년말에서 2020년초에 공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개항 시점은 2025년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제주도는 그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용역에서는 제2공항 건설비용으로 4조1000억원이 추정됐고, 현재로서는 더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제주시 탑동 앞바다에 국제적인 관광미항을 조성하는 제주신항만 건설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신항만건설촉진법에 근거해 제주신항만 건설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어 더욱 관심이 모아진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탑동 일대를 신항만 건설 예정지역으로 지정해 신항만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신항만 건설 예정지역으로 지정돼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예비타당성 조사가 시행되고, 경제적 타당성이 확인되면 실시설계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계획대로라면 제주신항만 건설도 2019년 또는 2020년께 공사가 시작되고, 2030년까지 마무리된다. 제주신항만 건설계획에는 제주도가 정부에 요청한 2조8000억원 규모의 신항만 구상안의 사업 내용이 거의 대부분 반영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주 제2공항과 제주신항만 건설은 거의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추산되는 사업비만 7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국책 사업들이다.

이러한 규모의 대형 국책 사업이 제주에서 한꺼번에 추진된 적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처음일 것이다. ‘제주의 대역사’, ‘백년대계’ 등등의 표현이 전혀 과하지 않을 듯싶다.

제주 제2공항과 제주신항만 건설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원희룡 지사의 가장 큰 업적으로 남을 게 분명하다.

그러나 문제는 어떻게 추진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그 핵심에는 도민의 공감대가 전제돼야 한다.

제2공항 예정지 지역주민들의 반대는 갈수록 거세지고 있고, 소통의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삶의 터전을 잃게 될 지역주민들에게는 생존권이 걸린 문제다.

제주신항만 건설 역시 대규모 바다 매립에 따른 환경 훼손 문제, 어민 피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환경단체에서는 탑동 매립 중단과 사업 파기를 주장하고 나서고 있다.

이제 원 지사가 그토록 강조해 온 제주도정의 소통과 협치 능력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제주의 대역사가 도민사회의 갈등만을 야기할 것인지, 아니면 도민의 공감대 속에 추진될 수 있을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