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 사드 보복, 결연히 고비 넘어야
점입가경 사드 보복, 결연히 고비 넘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제재가 노골화되는 양상이다. 심지어 이를 부추기는 가짜뉴스까지 판치고 있어 선의의 피해마저 우려된다. 눈여겨볼 건 사드 보복이 이번 주 최고조에 달할 것이라는 점이다. 중국이 한국관광을 전면 금지한 15일 이후 중국 관광객이 아예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진단이 현실화될 거라는 얘기다.

지난 주말까지 제주관광을 취소한 중국 관광객은 11만명을 웃돈다. 방한 관광객과 교류단 등의 일정마저 중단되는 상황이 약속이나 한 듯 진행되는 건 더 심각하다. 12일만 해도 제주항에 접안한 크루즈선에서 3400명의 중국인이 배에서 머물다 그대로 떠났다. 일부가 내리지 않은 적은 있어도 전 인원이 하선을 거부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그들을 기다리던 수십대의 전세버스와 관광업체 등이 허탕을 치는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근래 크루즈 입항 취소만 157항차에 이른다고 하니 그 피해 규모를 알 만하다. 중국을 잇는 항공편도 86편이 중단됐다. 제주관광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다 반한(反韓) 감정을 부추기는 가짜뉴스까지 등장해 혼란을 야기한다고 한다. 주한 중국대사관 홈페이지를 짜깁기한 공고문을 이용해 중국인들의 귀국을 독촉하는 글이 나도는 거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도 한국 정부가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전면 중단했다는 허위사실이 게재돼 돌아다닌단다.

주한 중국대사관이 진화에 나섰지만 빠르게 확산되는 모양이다. 자칫 양국간 정서가 악화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중국의 사드 보복은 치졸하면서도 국제 무역규범에도 어긋난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제주로선 그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번 일로 제주관광의 현주소를 되짚는 계기가 돼야한다는 각성이 일고 있지만 그 파장 또한 만만치 않다.

중요한 건 상황을 주시하면서 시장 다변화를 위한 마케팅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일본·동남아 등 신흥시장 개척과 내수시장 활력을 위한 전략도 필요하다. 어떠한 대외 변수가 닥쳐도 견딜 수 있도록 제주관광의 체질을 고부가가치화 하는 것이다. 정부 역시 국제사회에 대한 외교적 노력과 함께 경제 피해를 고려한 대응책 마련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