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위기대응 시험대 오른 제주도정
AI 위기대응 시험대 오른 제주도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난해 11월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했을 때 정부의 초동대응 실패는 그 대가가 혹독했다. 가금류 3700만 마리가 살처분됐고 1조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달걀값이 폭등해 수입까지 했다. 어수선한 정국 속에 공무원들이 허둥댄 탓이다. 이로 볼 때 제주도정은 최근 엄습한 AI의 조속한 퇴치로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

하지만 이런 기대와 달리 제주도의 허술한 방역행정이 도마에 올라 큰 우려를 낳는다. 항만 방역망이 뚫리고 초동대처가 허술했다는 지적이 나와서다. 엊그제 제주도의회가 AI 대응상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나온 내용을 보면 그냥 넘어갈 일이 아니다. 그런 상황이 맞다면 자칫 AI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지적에 설득력이 있어서다.

보도를 보면 AI 감염 오골계가 제주에 유입된 시기는 당국이 밝힌 26일이 아니라 그 전날인 25일이었다. 농가의 진술에만 의존하다보니 헛짚었다는 것이다. 그만큼 대응이 늦었다는 실증이다. 생닭 등 반입가축 관리에도 허점을 드러냈다. 현행 규정상 신고의무가 없어 다른 지방 가축이 얼마나 들어오고 있는지조차 파악이 안된다고 한다.

더욱이 제주에 가축전염병 여부를 판단하는 정밀진단기관이 아예 없는 건 큰 문제다. 방역인력이 부족한 건 차치하더라도 신속한 대처에 한계가 있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평소 2명 이상 배치토록 한 가축방역관도 예산이 없어 운영이 안되는 상황이다. 그야말로 제주도의 방역시스템이 헛구호에 머무는 셈이다. ‘깜깜이 행정’이 아닐 수 없다.

이번 제주지역 AI 악몽은 농가의 신고에만 의존하는 소극적 방역체계가 화를 키웠다. 도의회의 지적처럼 미흡한 방역시스템과 허술한 초동대처가 한몫한 것도 사실이다. 심각한 건 AI에 감염된 오골계 수십 마리의 행방이 확인되지 않은 것이다. 그에 따라 사태가 자칫 확산될 수 있어서다. 추가 폐사 신고는 없지만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도내 농가에서 고병원성 AI 피해가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7차례의 위기에도 철저한 방역으로 쌓아온 아성이 한순간 무너진 게다. AI가 퍼질 지 여부는 이번 주가 고비다. 오일시장에서 오골계를 구매한 주민들의 협조가 절박한 때다. 제주도정 역시 가축 전염병이 상시화 추세라는 점을 감안해 새로운 방역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