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점검 없이 지정된 재난 대피시설
안전성 점검 없이 지정된 재난 대피시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경주에 이은 포항의 지진은 우리도 더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줬다. 제주 역시 최근의 지진 발생 빈도를 볼 때 매한가지다. 이런 상황에서 유사시에 대비한 재난 대피시설의 부실한 운영 실태는 말문을 막히게 한다. 내진설계 등 안정성에 대한 점검 없이 행정 임의대로 대피 및 구호시설을 지정했다니 하는 말이다.

보도를 보면 제주에서 지진 발생 시 도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옥외 대피소는 제주시 24곳과 서귀포시 44곳 등 68곳이다. 실내 대피소도 4곳이 지정돼 있다. 또 이재민이 생기면 그들을 보호하는 구호소도 138군데에 산재해 있다. 주로 도심 생활체육관이나 읍·면의 마을회관, 경로당 등이다. 읍·면·동장이 관리책임을 맡고 있다.

당장의 문제는 해당 시설들이 내진설계 등 지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지 않은 채 지정된 점이다. 구호시설 중엔 2014년 안전점검에서 C등급을 받은 서귀포시민회관도 포함됐다. 특히 이미 지정된 대피시설을 정작 도민들은 전혀 모르고 있다는 거다. 실제 상황이 벌어지면 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안전 여부도 확인되지 않아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오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른바 옥외 대피소는 지진 발생 초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한다. 또 실내 구호소는 지진으로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을 구호하기 위한 시설이다. 지난해 경주 지진 이후 정부가 내진 성능을 인정받은 곳을 지정토록 했지만 이마저 지켜지지 않는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우를 범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어느 모로 보나 이제 제주지역도 지진 위험에 노출됐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수년간 지진 발생 빈도가 입증한다. 2013년 4차례에서 2014년 7차례, 2015년 8차례, 작년과 올해 각 11차례로 점점 늘고 있다. 반면 그 대응책은 취약하고 소걸음이다.

이제라도 재난 때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할 대피시설을 잘 살펴봐야 한다. 내진 설계가 됐거나 보강공사를 통해 내진 성능을 인정받은 곳으로 재정비가 필요한 것이다. 나아가 지진에 무방비인 학교나 도서관, 아파트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물은 최우선 보강작업이 절실한 실정이다. 혹독한 참상을 겪고서야 통탄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