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상인 갈등 부추기는 ‘빈병 보증금’
소비자·상인 갈등 부추기는 ‘빈병 보증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환경부가 빈병 수거율을 높이기 위해 보증금을 인상했지만 마찰음이 너무 심하다. 반환하려는 소비자와 회수하는 매장 사이에 각자의 불만이 심화되는 탓이다. 큰 원인은 환불을 위해 가져오는 빈병을 소매점들이 받기를 꺼리는 데 있다. 또한 소매업자들이 흔쾌히 동참할 여건을 갖추지 않고 밀어붙이는 당국의 책임도 크다.

정부는 지난해 1월부터 빈병 회수 보증금을 올려 시행 중이다. 소주병은 40원에서 100원으로, 맥주병은 50원에서 130원으로 인상했다. 그에 따라 2015년 24%에 불과하던 빈병 반환율이 2016년 30%, 지난해 49.5%까지 급증했다고 한다. 매장을 통해 들어오는 빈병 수량이 크게 늘면서 보증금 제도가 효과를 보이는 것이다.

문제는 잘 되는 빈병 수거와는 달리 소비자와 매장 간에 갈등 빚는 일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소비자는 언제든 빈병을 돌릴 수 있기를 원한다. 하지만 소매점 입장에선 빈병 회수가 고약하기 짝이 없다. 대개 구매는 대형매장에서 하고, 빈병 반납 때만 소매점을 찾기에 이득이 거의 없다는 호소인 게다. 심지어 매장공간이 부족해 외부에 보관한 경우 빈병을 훔쳐가는 일도 잦아 이래저래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 이유로 자신들이 판 병만 수매하거나 특정 날짜를 정해 빈병을 받는 소매점이 적지 않다고 한다. 빈병 수매를 놓고 업주와 소비자 간 실랑이가 벌이다 경찰이 출동한 사례도 있다. 감정이 격화돼 고객이 되레 업무방해 혐의로 입건된 것이다.

빈병 재사용 횟수는 통상 그 나라 국민들의 문화 수준을 반영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8회 정도로 독일 40회, 핀란드 30회, 일본 24회에 비해 매우 적다. 소매업자들의 불만에 타당성이 없지 않기에 제도의 취지를 살리기 위한 보완책이 나와줘야 한다. 빈병 회수가 환경을 지키는 길이라는 건 어린이도 아는 사실 아닌가.

소비자와 소매상 모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선 무인 회수기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동일1리와 화순리 등에 설치돼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고 한다. 대규모 아파트에도 빈병수거 머신을 설치해 넣는 만큼 쿠폰을 주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 여러 방도가 있겠지만 자원 재순환에 기여하겠다는 소비자들의 실천이 우선일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