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하천 복원’ 기대만으론 부족하다
‘도심하천 복원’ 기대만으론 부족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시 도심 하천 복원에 대한 밑그림이 나왔다. 제주시가 제주대 산학협력단과 한국종합기술 등에 용역을 의뢰한 결과 시내 5개 하천 중 흘천을 제외한 한천, 병문천, 산지천, 독사천 등 4개 하천의 복개 구조물을 걷어내고 하천변을 따라 대체도로를 건설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지금까지 이들 하천 복개지는 대형 자연재해의 아지트나 다름없었다. 2007년 9월 태풍 ‘나리’가 제주를 강타할 때 흘천을 제외한 4곳이 범람해 13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그 후 100년에 한 번 발생하는 폭우까지 견딜 수 있게 하겠다며 대용량 저류지 12개를 시설했으나 어림없었다. 2016년 태풍 ‘차바’ 때는 시내 한복판인 용담동 한천 복개구조물이 수압을 이기지 못해 솟구치면서 주변에 주차된 차량 50여 대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이런 이유로 도심 하천 복개지는 물난리를 겪을 때마다 수마의 원흉으로 꼽혔다.

이런 점에서 용역보고서 초안은 상당수 시민의 기대를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사업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산 넘어 산’이라 할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1조원으로 예상되는 사업비 조달이다. 제주시 동서 중심도로인 애조로변에 시설하는 방수로(총연장 13.6~16.9㎞·4000억원 소요)를 뒤로하더라도 총 5.6㎞의 복개 구조물을 걷어내고 대체도로 등을 시설하는 데 6000억원이 든다. 지자체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규모다. 비용 대비 효과를 만족시킨 후에야 국비에 손짓할 수 있다.

여기에 지역주민들의 여론도 무시할 수 없다. 하천 범람 예방의 근본적인 대책으로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복개 구조물 철거를 지목할 때도 이들의 반대 의견은 만만치 않았다. 초대형 사업이라 언제 시작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주차·교통뿐만 아니라 지역상권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제주시 도심 하천 복원은 이런 문제 등으로 당위성만을 내세워 접근할 수 있는 사업이 아니다. 향후 제주시가 어떤 역량을 발휘할지 행보가 주목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