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과의 4·3 해결 약속 이행에 강한 의지 표출
도민과의 4·3 해결 약속 이행에 강한 의지 표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文 대통령 4·3 추념식 참석, 의미와 과제…배·보상 등 입법 국회 합의 관건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 제주도민들에게 거듭 사과하고 4·3의 완전한 해결을 약속한 것은 공약 이행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공약 이행을 위해서는 국회에 계류 중인 4·3특별법 개정안 처리가 여야 합의로 뒷받침돼야 하고, 4·3을 바라보는 시각차 극복도 관건이 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4·3평화공원에서 추념사를 통해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리고, 또한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김대중 정부의 4·3진상규명특별법 제정, 노무현 대통령의 4·3에 대한 국가 책임 인정과 사과를 언급하고, “그 토대 위에서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어 “더 이상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유족들과 생존희생자들의 상처와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배·보상과 국가트라우마센터 건립 등 입법이 필요한 사항은 국회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4·3특별법 개정안과 관련 국회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앞서 지난해 대선 후보 시절 4·3과 관련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희생자와 유족 지원 확대, 배·보상, 유적지 보존, 희생자 유해 발굴, 유전자 감식 지원 등을 약속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이날 추념사는 무고한 양민들이 희생당한 4·3의 아픔, 4·3의 진실을 알리기 위한 도민들의 노력 등 4·3의 역사를 꿰뚫고, 평화와 인권으로 나가는 미래를 다짐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당시 제주 인구의 10분의 1, 3만명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4·3 당시 군경에게 총상을 입었지만 한국전쟁 때 ‘해병대 3기’로 자원입대하고, 아내와 부모, 장모와 처제를 잃고도 애국의 혈서를 쓰고 군대에 지원한 사연들을 전했다.

 

1960년 중·고생들의 관덕정 광장에서의 3·15 부정선거 규탄 및 4·3의 진실 외침, 그 후 4·3 단체와 문화예술계의 활동도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다”며 “아직도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제주는 깊은 상흔 속에서도 지난 70년간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외쳐왔다”며 “이제 그 가치는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으로 이어지고, 인류 전체를 향한 평화의 메시지로 전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4·3 유족을 비롯한 도민들은 문 대통령이 추념사를 통해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린다’,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 등을 밝히자 박수를 보내면서 희망을 품었다.

 

한편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자 두 번째이다.

 

김재범 기자 kimjb@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