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정비 1조원 투입에도 오수 하천에 '콸콸'
하수정비 1조원 투입에도 오수 하천에 '콸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승아 의원, 차집관로 증설 않은 것은 직무유기...분류식사업 전수조사 필요
제주시 오라동 병문천 구간에 있는 우수관에서 하수가 흘러나오는 모습.
제주시 오라동 병문천 구간에 있는 우수관에서 하수가 흘러나오는 모습.

1조원 이상의 막대한 예산이 들어간 하수·우수(빗물) 관로 분류사업이 제 효과를 내지 못해 하천과 바다를 오염시키고 하수처리 용량이 포화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21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21년간 1조7240억원이 투입된 이 사업으로 도내 하수관로 4206㎞의 82%(3456㎞)는 하수관과 우수관 2개로 나뉘는 분류식으로 설치됐다.

빗물과 생활하수를 하나의 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합류식에서 2개로 분리한 것이다.

처리 방식은 분뇨와 설거지물은 하수관→차집관로(하수가 모이는 통로)→하수처리장으로, 빗물→우수관→하천→바다로 이어지도록 분류됐다.

그런데 잘못된 관로 연결로 빗물만 흘러야할 우수관에 하수가 유입돼 하천과 바다로 흘러들면서 환경오염과 악취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구경이 작은 차집관로에 합류식관로(하수+빗물)를 연결해 제주시 도두하수처리장은 비만 올 때면 포화에 이르고 방류수 기준을 초과하고 있다.

즉, 하수만 흘러야 할 소구경 관로(차집관로)에 대구경 관로(합류식)를 연결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제주도의회 이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오라동)은 21일 원희룡 지사를 상대로 한 도정질문에서 이 문제를 제기했다.

이 의원은 “구경 250㎜의 차집관로에 600㎜의 합류식관로를 연결한 결과, 병문천 일부 구간은 하수가 유출돼 악취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상식적으로 분류식 사업을 한다면 그 전에 차집관로 증설을 해야 한다”며 “행정이 이런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증설을 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라고 비난했다.

이에 원 지사는 “최근 발생한 신화역사공원 하수역류 사태 역시 가는 관에 굵은 관이 물려 있어서 발생했다. 이는 하수관을 설치하는 시기와 기준, 예산이 몇 십년에 걸쳐 진행되면서 쌓여온 문제”라고 토로했다.

이 의원은 “하수관거 정비에 1조원이 넘는 막대한 도민 혈세가 헛 투자되면서 무엇보다 분류식 하수관로 관경을 증설하고, 오접(잘못된 관로 연결) 관로에 대한 전수조사와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원 지사는 “내년에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차집관로가 증설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24만t의 하수 중 13만t(54%)을 처리하는 제주시 도두하수처리장은 집중호우 때마다 빗물이 섞인 하수를 처리하지 못해 일부는 바다로 유출되거나 방류수 수질기준 초과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