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농가 구제역 방역 의지 느슨해졌나
양돈농가 구제역 방역 의지 느슨해졌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구제역(口蹄疫)은 소·돼지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가축에서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이다. 발병 후 1~2일이면 입술, 혀, 잇몸, 콧구멍, 발, 젖꼭지 등에 물집이 생기며 다리를 절고 침을 흘린다. 치사율은 5~75%에 이른다. 국내에서는 2010년 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양돈농가에서 3784건이 발생해 347만여 마리를 살처분하면서 2조7000억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구제역 예방은 주로 백신 접종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그런데도 제주지역 일부 농가들은 이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것 같아 유감이다. 도내 구제역 항체양성률이 크게 떨어지고 있어서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 10월 기준으로 해 67.4%로, 전국 평균 81.1%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는 항체양성률이 매년 오르고 있으나, 제주는 떨어지고 있다. 백신 접종을 꺼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러고도 제주가 전국 유일의 구제역 청정지역이라는 사실이 놀랍다. 언제나 ‘방심은 금물’이다. 구제역 피해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올해도 전국적으로 2건이 발생해 1만1000여 마리가 살처분돼 41억원 상당의 재산피해를 냈다. 일부 농가의 안일하고 느슨한 방역 의식이 전체 농가의 막대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구제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해 무리에서 한 마리만 감염되면 전체 가축으로 급속하게 확산한다. 이런 이유로 국제수역사무국과 세계동물보건기구 등에서는 가축 전염병 가운데 가장 위험한 ‘A급’으로 지정하고 있다.

일부 농가가 백신 접종을 꺼리는 데에는 ‘이상육(異常肉)’발생을 우려한 때문으로 알고 있다. 도축 과정에서 이상육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도려내 폐기하기 때문에 농가 입장에선 손실이다. 이 점에선 정부 당국도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현실적인 구제역 예방책으로는 백신 접종이 최선이다. 행정당국의 행정처분이나 특별관리에 앞서 농가 자발적으로 접종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더욱이 구제역 청정지역 유지는 누구보다도 양돈농가 자신을 위한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