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애로 없도록 인력 충원을
치매안심센터 애로 없도록 인력 충원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부가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을 내놓은 지 2년이 됐다. 지자체별 치매안심센터가 생겨 치매 진료환경이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다. 하지만 제주지역 6군데 센터의 근무인력이 정원에 훨씬 못 미쳐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정부가 목표로 정한 ‘지역사회 돌봄’ 수준의 치매안심센터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미다.

보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6개 치매안심센터 가운데 정원을 충족한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정부 권고안대로라면 제주시 3곳은 21명씩 63명, 서귀포시 3곳은 18명씩 54명 등 모두 117명이 필요하다. 허나 현재 인력은 70명뿐으로 충원율은 59.8%에 불과하다. 전국 평균 66.7%에도 못 닿는다. 이래서야 6개 센터 운용이 정상적으로 이뤄질지 걱정이 앞선다.

물론 도내 보건소마다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돼 무료 검진과 체계적 예방·관리가 가능해진 건 고무적이다. 문제는 고령화 시대를 맞아 치매 유병률이 빠르게 높아진다는 점이다. 중앙치매센터는 우리나라 치매 환자가 지난해 75만명을 웃돈다고 추계했다. 제주지역도 작년 1만명을 뛰어넘었다. 건강보험 집계로도 한 해 4만여 명의 신규 치매환자가 생긴다고 했다. 센터 내 전담인력 확충이 한시가 급한 이유다.

정부는 치매 의료비를 건강보험으로 보장하는 정책을 내세워 지자체별 치매안심센터를 설립했다. 그러나 아직도 인프라가 충분치 못해 전체 치매노인 중 절반가량만 등록돼 있는 게 현실이다. 폭넓은 업무에 비해 전문 인력과 장비가 부족한 탓이다. 센터가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와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

치매안심센터는 대통령 공약이란 이유로 밀어붙이다 보니 현장에선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자체별 미비점을 살핀 뒤 개선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센터장들은 특히 치매국가책임제의 무게중심이 발굴·치료에서 예방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했다. 치매가 우리에게 임박한 미래여서다. 이제 개인이나 가족을 넘어 우리 사회·국가가 그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