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품 감귤 온라인 유통, 근절책 찾아라
비상품 감귤 온라인 유통, 근절책 찾아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는 지난해 말 감귤 가격의 회복을 위해 2L 대과에 이어 2S 소과까지 가공용으로 처리하는 고육책을 펴고 있다. 상품과일의 시장 격리는 처음 있는 처방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이 무색하게 비양심 상술이 판치고 있다. 비상품 감귤을 섞어 인터넷으로 판매하는 업체가 속출해 제주 감귤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구매자들의 후기를 보면 상도의 배신에 항의가 거세다. “귤이 너무 커 맛이 별로다”, “소과를 주문했는데 큰 사이즈의 귤이 왔다”, “배달 뒤 하루 지나자 곰팡이가 슬어 절반 이상을 버렸다” 등의 불만이 잇따랐다. 수법도 교묘하다. ‘제주직송’, ‘고당도’, ‘새콤달콤’ 등의 문구를 새겨 현혹하고 있다. 저급 품질로 소비자를 이렇게 우롱할 수는 없는 일이다.

판매처를 확인해 보니 경북 영천·청도, 대구 북구, 부산 해운대구 등 대부분 도외 업체였다. 이는 결국 몇몇 얌체상인들이 비상품을 대거 사들인 뒤 택배 형태로 다른 지방으로 반출하는 데서 기인한다고 본다. 그렇게 유통되는 물량과 품질이 어떤지 도대체 종잡을 수 없다. 일부 몰지각한 이들이 비상품과로 잇속을 챙기며 감귤시장 질서를 교란하고 있는 것이다.

2018년 택배를 통해 출하된 제주감귤은 10만2439t에 달했다. 전체 출하물량의 22%를 차지한다. 문제는 그중에 시장에서 격리된 비상품과가 상당수 포함된다는 것이다. 해마다 택배가 비상품 단속의 사각지대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비상품과가 암암리에 시장에 흘러드는 이상 제주감귤의 이미지는 실추는 물론 제값 받기가 물거품이 될 건 뻔하다.

여기에 제주도정이 강력한 대응 의지를 밝히고 눈을 부릅떠야 하는 건 당연하다. 온라인과 택배 등 밀반출 통로를 차단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다. 양심불량 감귤이 나돌 수 없도록 일벌백계의 지도단속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함은 물론이다. 무엇보다 농가 스스로 위기의식을 갖고 비상품 유통을 발붙이지 못하게 한다는 각오와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