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깊은 4·3추념식, 후속 방안 매듭지어야
뜻깊은 4·3추념식, 후속 방안 매듭지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그제 아침 제73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제주4·3평화교육센터에서 봉행됐다. 코로나19 상황 속에 비 날씨까지 겹쳐 실내에서 간소하게 진행됐지만 그 어느 때보다도 각별했다. 4·3특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73년 만에 새봄을 찾게 돼서다. 헌화하는 유족들의 마음이 한결 가벼웠음은 불문가지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권도 함께해 희생자의 넋을 기렸다.

이 같은 함의를 담아 올해 추념식 슬로건은 진정한 봄이 찾아왔음을 뜻하는 ‘돔박꼿이 활짝 피엇수다’로 정했다. 4·3 문제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기틀이 마련됐음을 상징한다. 그럼에도 모든 정치적 행보가 마무리된 건 아니다. 유족들의 기대가 지대한 만큼 후속조치 이행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다. 4·3특별법 개정이 결실을 보기 위해선 첫걸음부터가 막중한 것이다.

우선 4·3희생자 위자료 관련 합리적 보상 기준과 절차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희생자와 유족 9만4900여 명에 대한 보상규모를 1조300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6개월의 연구용역이 순조로워야 오는 9월 국회에 제출하는 정부 예산안에 보상금이 반영된다. 제주4·3의 바른 이름을 찾는 추가 진상조사와 4·3트라우마 치유사업 등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다른 후속 과제는 4·3 당시 군사재판으로 억울하게 유죄판결을 받은 수형인 2530명에 대한 법무부 직권재심의 조기 이행이다. 당사자 및 유족의 명예회복과 직결된 사안이다. 이름만 남아있을 뿐 언제 어디서 묻혔는 지 알 수 없는 4·3행방불명인 유해 찾기도 지속돼야 한다. 이러한 후속방안은 유족과 도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귀결돼야 함은 물론이다.

제주4·3은 제주를 넘어 우리 현대사의 가슴 아픈 역사다. 이제 4·3특별법 개정에 따른 후속 방안은 진정한 화해와 상생을 위한 전기가 돼야 할 것이다. 멀고도 험한 일인 것 같았지만 끝내 실타래가 풀렸다. 수많은 유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디딤돌이 놓인 것이다. 4·3 역사에 큰 물줄기라는 점에서 여러 의미와 가치가 있다. 이를 계기로 도민사회는 통합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