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울어진 제주, 심화되는 지역 불균형
기울어진 제주, 심화되는 지역 불균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재병 정치부장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정책이나 선거철에 나오는 무슨무슨 공약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 가운데 하나가 바로 ‘균형발전’이다.

제주에서도 4대 권역별 균형발전, 읍·면·동 균형발전 등 균형발전이라는 말이 수시로 나온다.

거꾸로 보면 그만큼 균형발전이 잘 안 되고 있다는 방증인 듯싶다.

우리나라 전체를 보면 서울, 수도권 쏠림이 심각하다. 제주도는 제주시를 중심으로 한 도심 집중이 문제다.

세부적으로는 동(洞)지역 내에서는 원도심과 신도심 간의 불균형, 읍·면지역은 동부권과 서부권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지역별 인구 변동을 살펴보면 불균형을 확연히 확인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보면 2011년 말 제주 인구는 57만6156명에서 올해 6월말 67만5293명으로, 지난 10년 동안 9만9137명(17.2%)이 늘었다.

제주시는 42만2790명에서 49만2627명으로 6만9837명(16.5%), 서귀포시는 15만3366명에서 18만2666명으로 2만9300명(19.1%) 증가했다.

43개 읍·면·동 중에서 제주도 전체 평균보다 더 많이 증가한 지역은 아라동(173%), 오라동(141%), 삼양동(134%), 대천동(100%), 봉개동(73%), 대륜동(63%), 외도동(41%), 대정읍(33%), 애월읍(31%), 중문동(30%), 서홍동(29%), 안덕면(27%), 조천읍(23%), 도두동(20%) 등 14곳이다.

동지역에서는 아라·오라·삼양·대천·대륜동 등 새로운 주거지, 읍·면은 서부권이 상대적으로 많이 늘었다.

오히려 인구가 감소한 지역도 많다. 이도1동(-2.5%), 삼도1동(-4.5%), 천지동(-10.3%), 일도2동(-13%), 용담2동(-14.7%), 건입동(-17.8%), 삼도2동(-18.3%), 송산동(-18.8%), 용담1동(-20.8%), 중앙동(-25%), 정방동(-26.7%), 추자면(-32.3%), 일도1동(-35.1%) 등 13곳에 이른다. 추자면을 제외하면 모두 동지역의 옛 도심이다.

동서지역 읍·면을 보면 동부권 6개 읍·면(구좌·조천·우도·남원·성산·표선)은 7만9672명에서 8만9104명으로 9432명(11.8%) 증가했다. 서부권 6개 읍·면(한림·애월·한경·추자·대정·안덕)은 8만4617명에서 10만3517명으로 1만8900명(22.3%)이 늘었다. 서부권이 동부권보다 2배나 더 증가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지역의 원도심 공동화, 쇠퇴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동안 많은 계획과 사업이 추진됐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옛 도심을 떠나고 있다. 도시재생 사업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의문이다.

동서지역의 불균형도 조금씩 심화되고 있다. 제주 최대 도심인 연동과 노형동을 비롯해 외도, 하귀, 애월지역 등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고, 신화월드와 영어교육도시까지 연결되면서 안덕과 대정이 떠오르고 있다. 반면 동부권은 상대적으로 내세울 게 없는 게 사실이다.

균형발전이 반드시 개발이 전제되고, 도시가 확대돼야 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대신해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삶의 여건과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 현재로서는 별다른 대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불균형은 결국 좁은 제주에서 지역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주 섬 지도를 펼쳐봤을 때 그 어느 지역도 기울어지지 않는 균형이 필요하다.

지역의 특성에 맞게 개발하고, 지역 자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균형발전의 해법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