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6주년 특집]위기의 상아탑...생존전략 시급
[창간 76주년 특집]위기의 상아탑...생존전략 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방대,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선호에 정원 미달
대학 재적생 감소 심화에 학과 구조 조정 등도 불가피
지자체, 대학, 교육청 등 공동 협력기구 전무...대책 시급

진리의 상아탑이라 불리는 대학의 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출생률 급감에 따라 신입생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이제는 생존의 문제가 됐다.

특히 전국적으로 입학생 수가 50만명선이 무너진 2021학년도에는 그 심각성이 더욱 커졌다.

지방대는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이 심해지면서 정원 미달의 타격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2022학년도 신입생 유치를 위한 대입 수시 모집이 한창인 가운데 지방대가 살아남을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학령 인구 감소에 신입생 미달 사태=교육부에 따르면 2021학년도 전국 대학 등록자 기준 전체 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은 91.4%로 총 4486명이 미충원됐다. 미충원 인원은 주로 지방대와 전문대에 집중됐다.

미충원 인원 중 3458(75%)이 서울·경기를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에서 나왔다. 대규모 미달 사태의 1차적인 원인은 초저출생 기조에서 찾을 수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970년대 100만명대였던 출생아 수는 200064만명, 200544만명으로 떨어졌고 201730만명대로 추락한 후 지난해 처음 20만명대에 진입했다.

올해를 기점으로 대학 입학연령(18) 인구도 입학 정원에 미달하기 시작했다. 대학 입학연령 인구는 2000827000명에서 2005609000명으로 급감했고 이후 반등을 거듭하다 올해 47600명으로 줄었다.

반면 올해 대학 입학 정원은 474000명으로 입학 가능 인원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국내 고교생의 대학 진학률이 80%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인원 미충원 사태는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일이었다.

교육부는 계속되는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신입생 미충원 규모가 20228만명, 202396000, 2024123000명 등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도권 쏠림 현상은 점점 심화하고 있다. 일반대(4년제) 기준으로 수도권 입학인원 비중은 201034.8%에서 올해 40.4%로 증가했다. 교육부는 2024년엔 수도권 인원이 41.9%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지금으로선 지방대의 도미노 폐교는 시간 문제인 셈이다.

도내 대학 위기감 고조=제주지역 대학도 이 같은 위기에서 자유롭지 않다.

도내 대학 입학생이 꾸준히 감소하면서 학과 수 역시 조정이 불가피, 대학 위기를 해소할 정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도내 4개 대학(제주대학교·제주국제대학교·제주한라대학교·제주관광대학교) 입학생 수는 20195983, 20205497, 20214965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올해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을 살펴보면 제주대학교는 수시와 정시, 추가 모집까지 거친 끝에 100%를 달성했지만 제주한라대학교는 81.1%, 제주관광대학교는 74.9%, 제주국제대학교는 29.5%에 그쳤다.

도내 대학의 학생 수 역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132336명에서 지난해 31342명으로 6.4%(2166) 감소했다.

이는 곧 대학의 등록금 수입 감소로 이어져 학과 구조 조정으로 이어졌다.

실제로 전국교수노동조합에 따르면 도내 대학의 학과 수는 최근 10년 사이 8.7%(48) 감소했다. 특히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3년 새 26개 학과가 사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도내 한 대학 관계자는 신입생 미달 현상은 곧 재정 악화로 이어지고, 재정 악화는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며 결국 다시 미충원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될까 우려스럽다고 했다.

지방대 위기 탈출구는=도내 대학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지만 대책은 태부족이다.

타 지역은 지자체와 대학, 교육청 등 유관기관이 참여한 공동 협력기구를 구성하며 탈출구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제주지역은 이러한 기구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지방대가 무너지면 지역의 인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이는 곧 지역 경제의 위축으로 지역 공동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지자체와 대학, 교육청, 산업체 등이 힘을 합쳐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의 일자리 확대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연구·개발 등 혁신 역량도 커져야 한는 것이다.

지역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 구조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나서 대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중장기적 고등교육 대책과 함께 지방 대학의 지원과 육성, 균형 발전을 고려한 세밀한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제주대 관계자는 대학이 벚꽃이 피는 순서로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정확히 말하자면 서울에서 먼 지역 대학부터, 대학 서열이 낮은 순서부터 폐교 위기에 몰리고 있다고 보여지는 만큼 지방대학 위기 대책에 있어 대학 서열 해소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별 생존전략도 시급하다.

제주대학교는 2022학년도 4차 산업혁명 관련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전공 등 첨단분야 학과를 신설했다.

한 교육 전문가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이 가시화할 것이라며 학문에 집중하고 연구하는 기관을 넘어 인재를 발굴해 지역사회에 이바지해야만, 대학도 성장하고 지역도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주리 기자 bloom@jeju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예상된일 2021-09-26 09:30:37
농업 어업 말고는 할 일이 없다.....환경만 지키면 자동으로 일자리 먹거리 나온다는데....학과만 미래형으로 만들면 뭐하나...육지로 가야하는데....인지도에서 경쟁에 밀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