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만하면 터지는 산업재해 걱정이다
잊을 만하면 터지는 산업재해 걱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산업현장은 항상 위험요인이 도사려 있기 마련이다. 평상시 사업장의 안전시설 강화와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이지 않으면 언제 어떤 사고가 일어날지 모른다. 실제 도내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지난해 상반기 재해 근로자 589명 가운데 7명이 목숨을 잃었다. 앞서 2018년 16명, 2019년 10명, 2020년 6명이 잇따라 사망했다. 사전 안전 조치에 만전을 기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까닭이다.

안타까운 것은 올 들어서도 사정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보도를 보면 지난 23일 제주대학교 기숙사 철거공사 현장에서 높이 12m의 굴뚝이 무너져 50대 굴착기 기사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은 공사 관계자들을 상대로 업무상 과실 등 위법 여부를 조사하고 있고, 고용노동부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지 들여다보고 있다.

산업현장의 안전 불감증이 드러나 사례는 그뿐만이 아니다. 안전보건공단 제주본부가 지난해 실시한 건설공사장 60곳에 대한 합동점검에서도 잘 드러난다. 안전 난간 및 추락 방지시설 미비치 등 34곳(57%)의 위반행위가 적발됐다. 그러다 보니 지난해 상반기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재해는 추락 62명, 넘어짐 29명, 낙하물 충격 27명 순으로 꼽혔다. 고용부가 집중 관리하는 후진국형 재해가 대부분이다.

제주에서 행정이 발주하는 관급공사만 연간 8000여 건에 이른다고 한다. 산업 특성상 공공부문 발주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에 이곳부터 안전의식으로 무장하는 일이 긴요하다. 민간업체 또한 안전 경영은 시대적 과제다. 안전 인력과 조직을 보강하는 일에 내실을 기해야 한다. 생계를 잇기 위해 찾아간 일터에서 근로자가 죽고 다치는 일이 더 이상 방치돼선 곤란하다.

지난달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중이다. 일부 보완이 필요하다지만 산업현장에서 끊이지 않는 중대재해를 감안하면 더 이상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를 떠나 사고에 대비하는 길은 철저한 예방조치뿐이다. 현장 중심 안전점검에 전력을 다해 산업재해 후진성을 떨쳐버릴 때가 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