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형 공사장 안전사고 언제까지
후진국형 공사장 안전사고 언제까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올 들어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와 인명 피해가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산재사고 사망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제주에서 공사장 사고로 숨진 근로자는 모두 57명에 달한다. 2017년 15명, 2018년 16명, 2019년 10명, 2020년 6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지난해 10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매번 사고가 날 때마다 안전 강화 운운하지만 아직도 안전 불감증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얘기다.

이 같은 사정은 올 들어서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난 10일 제주시내 관광호텔 신축 공사장에서 작업 중이던 60대 근로자가 방음벽에 깔려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지난 2월에는 제주대학교 학생기숙사 철거 공사현장에서 12m의 굴뚝이 무너져 50대 굴착기 기사가 숨졌다. 1월에도 제주시 애월읍의 공사 현장에서 토사가 무너지면서 근로자 1명이 숨지고 1명은 중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안전보건공단 제주본부가 지난해 건설공사장 6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점검에서도 안전 불감증이 드러난다. 난간 및 추락 방지시설 미설치 등 34곳(57%)이 각종 위반 행위로 적발됐다. 그러다 보니 상반기 중 추락(62명), 넘어짐(29명), 낙하물 충격(27명) 등의 사고가 빈번했다. 고용부가 집중 관리하는 후진국형 재해가 대다수다.

공사장 안전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건 안전을 경시하는 풍조 탓이 크다. 이는 곧바로 추락이나 충돌사고 등의 사고로 이어진다. 그 이면에는 십중팔구 공기를 앞당기거나 시공비 절감에 매달리는 업계의 뿌리 깊은 관행이 웅크린다. 생계를 위한 일터에서 근로자가 죽고 다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 조치가 있어야 한다.

작년 한 해 사망자가 2명 이상 나온 사업장 중 70%는 건설 현장이라는 통계가 있다. 형식적 안전 점검과 사후약방문식 조치로는 안전사고를 결코 막을 수 없다. 각자의 자리에서 기본만 지켜도 붕괴사고 같은 후진국형 참사는 예방할 수 있다고 본다. 건설업계는 말할 것도 없고 당국 또한 현장 중심의 안전 점검에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