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원 오염 확산, 근본 대책 서둘러야
상수원 오염 확산, 근본 대책 서둘러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가정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원 오염이 확산되고 있다니 보통 일이 아니다. 제주도가 최근 공개한 ‘제주 상수원 특성조사 및 관리방안 보고서’는 지하수 오염에 대한 위기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용역을 수행한 고려대 산학협력단은 제주지역 취수원들의 수질 오염도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적극적인 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각 취수원의 수질 등급은 질산성질소 농도 등에 따라 A~E등급 5단계로 나뉜다. 종합평가 결과를 보면 삼양과 회천 취수원은 가장 낮은 등급인 E등급(경계 단계)을 받아 집중관리 대상으로 분류됐다. 또 납읍과 상귀, 서광, 신흥1·2, 의귀1, 저지, 행원2 취수원 등은 주의 단계인 D등급을 받았다. 사실상 지하수 오염이 제주 전역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용역팀은 이들 지역에 대규모 농지와 축산업, 개인하수처리시설이 밀집된 점을 주원인으로 꼽았다. 양돈액비와 화학비료 살포량이 많거나 생활하수 처리가 제대로 안돼 지하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특히 회천·삼양 취수원에 대해 질산성질소 농도가 수질 기준을 넘어서 지하수 보호 대책이 절실하다고 경고했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는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잖아도 수년 전부터 지하수 원수에서 병원성 바이러스가 검출돼 정수장에 ‘고도처리시설’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안이하게 대처하다간 자칫 수원지 폐쇄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 맑은 물의 대명사였던 한림수원지를 비롯, 호근·서림 등 서부지역 수원지가 질산성질소 등에 오염돼 문을 닫은 것이 그 증거다.

고려대 연구용역팀은 상수원 보호를 위해 잠재 오염원 모니터링 강화,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 신규 취수원 개발 등을 제언했다. 도 당국은 그에 맞는 이행계획을 강구해 현 상황이 더 악화되는 걸 방지해야 할 것이다. 차일피일하다간 재앙과 다름없는 물 부족 위기가 닥칠지도 모른다. 도민의 생명수인 지하수 보전을 위해 보다 엄격한 기준과 원칙을 정립해 실천해야 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