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도 소득도 감소, 어촌소멸 대책 있나
인구도 소득도 감소, 어촌소멸 대책 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어업인 감소와 고령화로 어촌이 갈수록 멍들고 있다. 이렇게 가다가는 어촌이 소멸위기에 맞닥뜨릴 수 있어 획기적인 정책 지원과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에 따르면 도내 어업인구는 2015년 9884명에서 2020년 6833명으로 5년 만에 31% 줄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울산(37%)에 이어 감소폭이 두 번째로 높다.

게다가 어민들은 어업소득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어가당 평균소득을 살펴보면 2017년 2669만원, 2019년 2067만원, 2021년 1967만원 등으로 4년 전과 비교해 26%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어가당 연간 소득은 처음으로 2000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어업비용은 2017년 2837만원에서 2021년 5739만원으로 4년 새 102% 폭증했다.

문제는 어업인구 감소세 못지않게 어촌의 고령화가 더 심각해진다는 점이다. 도내 어업인 연령을 보면 2020년 기준 40대 9%(624명), 50대 15%(1065명), 60대 26%(1796명), 70대 이상 30%(2055명) 등이다. 이 가운데 60·70대 이상이 56%로 절반을 넘어섰다. 2015년 43%와 비교하면 두 자릿수로 급증세다. 고령화에 시름하는 어촌마다 소멸위기에 내몰리는 형국이다.

실제 2010년 추자·우도·한경·구좌 등 4곳에 불과했던 소멸위험 지역은 10년 새 4배(16곳)로 늘었다. 특히 추자면은 소멸위험이 가장 높은 곳으로 구분됐다. 어촌 소멸은 균형발전이라는 측면뿐 아니라 수산업이 수행해왔던 공익적 기능의 상실을 의미한다. 이게 장기화되면 지역사회는 물론이고 국가의 미래가 불안해질 건 불문가지다.

어촌이 위기에 처한 건 수산 환경이 쇠퇴하고 젊은층 유입이 미미해서다. 이를 늦추려면 정부와 제주도 차원의 혁신적인 정책 변화와 지속적인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교육·의료·문화 등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것도 그중 하나다. 어촌 소멸 대응을 위한 전담부서 개설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어민들의 시름이 이만저만이 아닌 만큼 그 현실을 깊이 인식해 대책을 서두르길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