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대학 존립 위기, 해법은 뭔가
제주지역 대학 존립 위기, 해법은 뭔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대학교 신입생 등록률이 갈수록 추락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지방대학 소멸 위기가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부 공시 자료에 따르면 도내 4개 대학 신입생 등록률이 해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제주대의 경우 올해 2520명 모집에 2345명이 최종 등록해 93.1%의 등록률에 머물렀다. 이는 2020년 94.1%, 2021년 93.3%에 비해 학생 충원율이 2년 연속 낮아진 셈이다.

제주국제대 신입생 등록률은 너무나 심각하다. 올해 420명을 모집에 등록 학생은 61명에 그쳐 초비상이다. 2020년 39.5%에서 작년 26.7%, 올해 14.5%로 곤두박질쳤다. 전문대 상황도 여의치 않다. 제주관광대는 신입생 등록률이 2020년 84.9%에서 2021년 71.1%, 올해 67.6% 등으로 처졌다. 제주한라대도 2020년 89.2%, 지난해 76.4%, 올해 73.7% 등 해마다 하락세다.

매년 되풀이되는 지방대 경쟁력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수도권으로의 인재 유출 탓이 가장 크다고 한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앞으로 개선되기는커녕 매년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대로라면 도내 대학들의 폐교 위기가 도미노처럼 빚어질 수도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정부의 재정 지원도 수도권 쏠림이 심각하다. 교육부가 공개한 최근 3년간 정부의 대학 지원 현황에 따르면 2020년의 경우 1대학당 지원액은 수도권 93억원에 달했지만 지방은 58억원에 그쳤다. 또 한국장학재단의 최근 3년간 ‘고졸 학습자’의 장학금 현황에서도 수혜자의 75%가 수도권 출신 학생이다. 이 또한 지방대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이다.

이제 저출산 시대라는 현실에 기반해 지방대학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의 재정지원 운용방식을 수도권과 차별화해 일정한 편차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또한 산학협력체계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다. 정부 지원정책과 별도로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는 대학별 자구노력이 더없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