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품 감귤 처리, 산지 폐기도 병행해야
비상품 감귤 처리, 산지 폐기도 병행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가 2022년산 노지감귤 유통과 관련해 비상품에 대해선 가공용 수매를 통해 처리키로 했다. 지난 4년간 시행했던 자가 농장 격리 중심의 ‘산지 폐기’에서 180도로 전환한 것이다. 이들 두고 농가의 우려가 커지는 것은 당국이 주목할 부분이다.

이는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24일 제주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제기됐다. 강연호 농수축경제위원장은 “올해산 노지감귤의 극소과 비율이 12.3%로 전년보다 3배 늘었다”며 “대과가 아닌 극소과는 가공용으로 어렵고, 산지 폐기가 안 될 경우 시장으로 흘러가 감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격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공용 수매와 관련해 농가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했다고 판단한다.

강 위원장의 말을 빌리자면, 올해산 노지감귤 전체 생산 예상량 45만7000t 가운데 비상품이 7만1000t으로 추정되면서 가공용으로 6만t을 처리키로 했다. 하지만 나머지 1만1000t에 대해선 관련 방안이 없다. ‘사각지대’가 발생한 셈이다. 당국은 관련 대책을 밝혀야 할 것이다.

물론 제주도가 마련한 가공용 수매 방침은 일정 부분 설득력이 있다. 그동안 비상품 감귤을 생산지에서 폐기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버려지는 감귤’이란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준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일이다. 또한 농로나 하천 등에 비상품 감귤을 버리면서 민원도 끊이지 않았다.

그래도 산지 폐기의 긍정적인 면을 간과해선 안 된다. 농민들이 가공용 감귤을 판매하기 위해 장시간 차량에서 대기하거나, 순번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었다. 이는 농가의 고령화와 일손 부족, 인건비 상승 등을 고려할 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일이다. 지난해 산 감귤 조수입이 코로나19 와중에도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넘기는 데도 기여했다. 제주도가 1조원 돌파 요인으로 만감류 출하 전 품질검사제 등을 언급하면서 비상품 감귤의 산지 폐기를 강조한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올해 산에도 산지 폐기를 적용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