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산 농산물 통합물류체계 구축...전국 직거래 전환
제주산 농산물 통합물류체계 구축...전국 직거래 전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농산물 물류 효율화 방안을 찾는다]
2. 제주산 농산물 통합물류 사업
기존 수도권 위주 출하에서 강원 경상권 등 분산 출하 시도
농가 수취가격 상승 등 효과...거점센터 추가 등 사업 확대

제주지역은 섬이라는 지리적인 제약으로 농수축산물을 육지로 출하하는 경우 물류비가 해상운송비만큼 추가돼 경쟁력이 저하되고, 생산 농가들의 경영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제주는 우리나라 월동채소와 감귤 생산의 중심지로, 매년 겨울철 육지부 소비자에게 신선한 농산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농업생산기반으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기 위한 공익적 차원에서도 해상물류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이 해상운송비 직접 지원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정부의 직접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면서 물류 효율화를 위해 제주산 농산물 통합물류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산물 통합물류 사업의 특징

제주산 농산물은 서울 가락시장 등 수도권 지역으로 대부분 출하하는 구조로, 수도권 등 서부권역은 물류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하지만 강원, 경상권 등 동부권역은 높은 물류비 부담으로 농산물 물류체계가 갖춰지지 않아 제주도의 입장에서는 물류 취약지역으로 구분된다.

동부권역 역시 신선한 농산물을 구매·소비할 수 있는 시장일 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에게 품질 좋고 저렴한 제주산 농산물을 공급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한 제주도 내 20개 농·감협별 개별 운송계약에 따른 물류 비효율과 수도권 위주 출하로 인해 가격 위험 노출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물류 취약지역을 개척하고 제주산 농산물 분산 출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농산물 통합물류는 도내 각각의 지역농협에서 소비지까지 운송하는 방식을 통합하는 것으로 물류 효율화, 물류비 절감, 농산물 분산 출하, 가격안정 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수도권 이외 지방 등 소비지에서 필요한 제주산 농산물을 각각의 생산자단체가 아니라 통합해 보내 물류 효율화를 높이고 이에 따른 운송비도 절감하는 구조다.

기존의 일반적인 물류체계는 ‘제주→해상→서울 가락시장→소비지(강원, 경상권 등)’로 운송되고, 가격도 도매시장에서 결정돼 중도매인이 이익을 얻게 된다.

이러한 물류체계를 개편해 ‘제주→해상→거점물류센터→소비지(강원, 경상권 등)’로 운송하고, 가격도 산지가격으로 결정해 출하농가와 소매점의 이익을 높이는 방법을 채택했다.

수도권(가락시장) 중심의 농산물 물류에서 전국권역 산지 직배송 거래로 전환, 유통단계를 축소해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농산물 통합물류 체계

제주도는 예산과 계획을 수립하고, 농협경제지주㈜ 제주지역본부과 총괄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다. 통합물류 참여 조직은 도내 각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선별·포장해 팰릿 단위로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거점물류센터에 보내게 된다.

거점물류센터에서는 제주도의 참여조직에서 입고된 농산물을 관리하고 각 소비처별로 주문량에 따라 농산물을 분류, 경기·강원·충청·경상·전라·광역시·지방도매시장 등으로 운송한다.

기존의 ‘농협별 개별물류’를 ‘농감협 통합물류’로, ‘가락시장 등 수도권 경매(정가거래) 후 중도매인 등을 통한 동부권역 운송’ 방식을 ‘온라인거래 및 산지전자경매 등을 통한 산지 직접거래(최소가격 설정 등)’ 방식으로 전환했다.

또한 ‘선(先) 물류, 후(後) 거래’ 방식을 ‘선(先) 거래, 후(後) 물류’로 변경했고, ‘제주→서울·수도권→강원·경북권’으로 이어지면서 약 600~650㎞(3~4일)에 달하던 운송 경로도 ‘제주→소비지 거점물류→강원·경북권’으로 약 500㎞ 내외(2일)로 단축했다.

제주도는 올해 사업에 6억원을 투입했고, 월동채소와 양파, 감귤, 감자, 깐마늘 등 도내 전 농산물에 지원했다. 농가는 제주에서 거점물류센터까지 가락시장 출하 수준인 간선물류비용만 부담하고, 거점센터에서 소비지까지 지선 물류비용은 90%는 제주도가 보조하고, 10%는 농협이 지원한다.

통합물류에는 도내 21개 농감협 및 조공법인이 참여하고 있으며, 전국 시·군지역까지 바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했다.

▲전국 직거래 구축·농가 수취가격 상승

제주도가 감귤과 월동채소가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통합물류 사업 성과를 중간 평가한 결과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제주산 농산물 물류체계가 전국 권역 직거래 체제로 확대되고, 농가 수취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통합물류 사업을 통해 지난 1월부터 4개월 동안 당근·양배추 등 채소류 1508톤, 13억2700만원, 노지감귤·한라봉 등 과일류 920톤, 35억4700만원 등 총 2428톤, 48억7400만원 규모가 유통됐다. 팰릿으로는 3326개에 달한다.

거래처는 지방 도시 중소마형 마트와 도매시장, 공판장 등으로 경기가 53개소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 48개소, 강원 24개소, 충남 22개소, 경남 20개소 등으로 분포했다.

통합물류를 통해 배송한 결과 농가 수취가격은 서울 가락시장에 비해 적게는 9%에서 많게는 40%까지 상승했다.

실제 ㎏당 수취가격은 월동무는 ‘통합물류 620원’-‘가락시장 487원’으로 27.3%, 양배추는 ‘통합물류 944원’-‘가락시장 743원’으로 27.1%, 당근은 ‘통합물류 1435원’-‘가락시장 1023원’으로 40.3%, 노지감귤은 ‘통합물류 1920원’-‘가락시장 1731원’으로 10.9%, 한라봉은 ‘통합물류 5718원’-‘가락시장 4203원’으로 36%, 천혜향은 ‘통합물류 6062원’-‘가락시장 5401원’으로 12.2% 더 높았다.

통합물류는 제주지역 출하 농가들의 소득에 도움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락시장에 집중된 출하물량 일부를 전국 소비지로 분산시켜 수급에 따른 가락시장 기준가격 형성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됐다.

제주도는 참여조직들도 거점물류센터를 이용하고 지선 운송료가 지원돼 농가 수취가격 상승, 원가절감, 공급시간 단축 등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지와 도매시장에서도 사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민원 감소, 신선도 유지 등의 효과가 나타났다.

▲거래 규모화·거점물류센터 확대 필요

통합물류를 통해 긍적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개선책도 요구됐다. 우선 거점물류센터가 경기도 용인지역 1곳에서만 운영되면서 용인까지 갔다가 다시 부산, 광주 등 남부지역으로 배송해야 하는 문제가 지적됐다. 

또한 용인에서 경상도와 전라도로 운송되면서 도착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와 참여조직별로 거점물류센터 도착시간이 달라 애로사항도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거점물류센터를 경상지역 등에 추가로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아울러 제주에서 육지 거점물류센터까지 배송도 운송업체를 선정하고, 취합 운송해 운송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도모하는 한편 지방 도시의 중소형 마트와 도매시장 등에 홍보를 확대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제주도는 올해 시범사업을 통해 성과가 나타남에 따라 농산물 통합물류 사업을 내년에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도서지역 내륙거점 통합물류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 동안 국비 93억원, 지방비 56억원, 자부담 37억원 등 총 186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내년에는 국비 10억원이 확보돼 지방비를 포함해 2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