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미래 품을 제주기록원 본격화하길
과거와 미래 품을 제주기록원 본격화하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막대한 재정 부담으로 딜레마에 빠진 제주기록원 설립 방안을 위해 제주도와 도의회가 머리를 맞댔다는 소식은 반기지 않을 수 없다. 막대한 예산을 필요로 하는 연동복합청사 안에 기록원을 포함하는 대신 차선책이 강구되는 모양새다. 도내 유휴 청사를 찾아내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적지 물색 및 예산 확보 등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의회 강철남 행정자치위원장과 도 관계자 등은 7~8일 다른 시도 기록원을 찾아 운영 상황을 벤치마킹했다고 한다. 제주지역 정보·기록권을 확대하고, 기록물 영구보존 환경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서울기록원과 국가기록원, 서울기록문화관 등을 방문해 지방기록원 건립과 통합 관리체계 구축의 중요성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향토 기록물의 가치 보존과 후세에 물려주려는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

현재 17개 시도 가운데 지방기록원이 설립된 곳은 서울과 경남 2곳뿐이다. 특히 경상남도기록원은 자체 예산을 들여 옛 보건환경연구원 리모델링 공사를 통해 건립됐다. 이로 볼 때 예산 지원 계획이 없는 정부에만 마냥 기댈 건 아니라고 본다. 제주도와 의회는 선심성 예산을 줄이고, 놀리는 건물을 찾아내서라도 한시바삐 제주기록관을 본격화하는 방안을 찾기 바란다.

앞서 제주도가 의뢰한 ‘제주기록원 건립 계획 수립 용역’은 막대한 재원 부담으로 귀결됐다. 신축하면 468억원, 연동복합청사 건립과 연계해도 252억원이 투입되는 등 최소 수백억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주도가 골머리를 앓는 이유다. 그러다 보니 도내 주요 관청과 의회, 출자·출연기관 등에서 만들어진 기록물이 쌓이면서 관리에 애를 먹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2007년 개정된 ‘공공기록물법’은 시도에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치·운영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법 시행 15년이 되도록 제주기록원 건립은 답보 상태다. 양 기관의 협치를 계기로 국비 등 재원 확보 방안과 유휴 공간 리모델링 등 제주기록원 설립을 현실화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을 기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