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街路樹)
가로수(街路樹)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대영 편집이사 겸 대기자

가로수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거리의 미관과 국민 보건을 위해 길을 따라 줄지어 심은 나무를 뜻한다.

도로변에 줄지어 심어진 가로수는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풍경을 선사하는 것은 물론 대기오염 물질의 정화를 비롯해 온실가스 흡수, 도심 열섬현상 완화, 그늘막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도시가 형성되고, 도시와 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가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면서 도로변에 나무를 심어 미관을 조성하는 동시에 도로를 보호하게 했다.

▲제주의 공식 첫 가로수는 1973년에 식재된 제주공항 앞 구실잣밤나무와 제주시청 앞 편백나무, 제주대 입구 왕벚나무, 광양사거리 구실잣밤나무로 알려진다.

이어 1979년에는 신제주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신제주로터리를 중심으로 담팔수와 후박나무, 후피향나무가 심어졌으며 1980년에는 서사라 주변에 구실잣밤나무가 대량으로 식재됐다.

▲최근 가로수들의 수난이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17년 대중교통 중앙차로제 도입으로 제주중앙여고~제주여고 사거리 구간 중앙화단에 식재돼 있던 구실잣밤나무 30여 그루가 다른 지역으로 이식됐지만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상당수가 고사된 상태다.

또 지난해에는 제주시 연동 제성마을 벚나무가 도로 확장을 위해 벌채되면서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 제주도가 제주시 서광로 광양사거리~도령마루 구간에 중앙버스차로 개설을 위해 도로변 가로수 705그루를 이식한다고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미 한국병원 인근 일부 가로수는 이미 제거됐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단체들은 중앙버스차로제 공사를 하면서 가로수들이 무참히 뽑히고 있다며 버스의 정시성 및 신속성 개선과 대중교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사라고 하지만 많은 논란을 일으킨 1단계 사업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도 없이 추가 공사를 이어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가로수 이식이나 벌채에 대해 시민사회가 반발하는 이유는 행정의 일방적 추진에 있다.

가로수의 조성뿐 아니라 관리에 대해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운영을 정례화 하는 등 시민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