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국, 남삐’ 아닙니다. ‘몸국, 놈삐’로 검색하세요.”
“‘맘국, 남삐’ 아닙니다. ‘몸국, 놈삐’로 검색하세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국어사전에 수정 게재

 

우리말샘에서 수정 등록된 '몸국'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국어사전에서 수정 등록된 '몸국'

‘아래아(ㆍ)’가 포함된 제주어를 실제 발음과 비슷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됐다.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정책과와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국립국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우리말샘’ 국어사전에 그동안 ‘아래아(ㆍ)’의 표현과 발음의 한계로 현실과 동떨어져 ‘맘국’, ‘남삐’ 등으로 게재됐던 제주어 표제어가 ‘몸국, 놈삐’ 등으로 수정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제주학연구센터는 지난해 10월 ‘우리말샘’에 올라있는 표제어에서 ‘아래아(ㆍ)’ 관련 어휘 400개와 지나치게 이질적인 어휘 10개를 검토해 국립국어원에 수정 요청했다.

이 가운데 일부가 반영되면서 기존 ‘남삐, 닥세기, 다슴아달, 맘국, 상키, 탁, 카칼하다, 하꼼, 타라지다’ 등 9개의 어휘가 ‘놈삐, 독세기, 다슴아돌, 몸국, 송키, 턱/톡, 코콜하다, 호꼼, 토라지다’로 수정 게재됐다.

9개 단어가 수정되면서 예문과 관련 어휘 수정도 함께 이뤄져 총 142건의 표제어가 현실음에 맞게 반영됐다.

‘우리말샘’ 사전에 올라있는 제주어 어휘는 총 1만8000여개로, 이 가운데 20%가 넘는 4000여 개 표제어가 ‘아래아(ㆍ)’를 포함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국어 정책상 국어사전의 현대 국어 표제어는 한글 24 자모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아래아(ㆍ)’가 포함된 단어를 대부분 ‘아’로 바꿔 게재했다.

김순자 센터장은 “국립국어원은 ‘아래아(ㆍ)’를 포함한 제주어 4000개 항목 전체에 대한 전수 조사와 검토를 진행해 수정 요청하면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제주어의 왜곡을 방지하고 올바른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의 우리말샘뿐만 아니라 다른 국어사전의 제주어 표제어와 뜻풀이도 바르게 수정하는 작업을 서두르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