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발전 출력 제한 해소...정부, 에너지저장장치 구축 추진
풍력발전 출력 제한 해소...정부, 에너지저장장치 구축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산업부, 30일 ‘에너지 스토리지(저장장치) 산업정책 전담팀(TF)’ 출범
계통 불완전 보완 2036년까지 26기가와트용량 대형 ESS 구축 계획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안도로에 들어선 풍력발전기 모습. 한국남부발전 제공.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해안도로에 들어선 풍력발전기 모습. 한국남부발전 제공.

제주지역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가동 중단(출력 제한)을 해결할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이 본격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에너지 스토리지(저장장치) 산업정책 전담팀(TF)’을 출범, ESS산업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산업부는 2036년까지 26GW(기가와트) 용량의 대형 ESS를 구축할 예정이다. 소요되는 비용은 최대 45조4000억원으로 추산됐다.

ESS는 풍력과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기를 리튬이온 배터리에 저장해 놓았다가 전력 피크 타임이나 전력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로 대규모 배터리로 보면 된다.

도내에서 필요한 전력의 55.1%는 화력과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용하는 지역발전소에서 생산한다.

또 제주~전남 해저케이블을 통해 26.6%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나머지 18.3%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로 충당하고 있다. 그런데 풍력과 태양광 발전 설비 증가로 전력이 남아돌고 있다.

전력이 필요량보다 초과 생산됐을 때 이를 송전로에 그대로 흘려보내면 과부하로 인해 정전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과잉 전력 생산을 막기 위해 2015년 전국 최초로 제주지역에서 3차례 풍력발전 출력 제한이 단행됐다.

출력 제한 횟수를 보면 2019년 46회, 2020년 77회, 2021년 64회, 지난해 87회이며,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총 318회에 달하고 있다.

이 추세라면 오는 2034년 제주 풍력·태양광 발전의 출력 제한 조치는 연간 326회, 제어량은 시간당 293만 1000㎿(메가와트)로 전체 발전량의 40%에 달하며, 예상 손실액은 51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부는 전력망 안정과 출력 제한 해소를 위해 ESS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전국 1위인 제주는 2017년 1300㎿h였던 출력제한량이 2020년 1만3416㎿h로 증가했고, 호남지역 역시 계통 불안정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서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호남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과 출력 제어 완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려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7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제주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과잉 생산으로 인한 출력 제한 일수는 풍력 299일, 태양광 23일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