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보훈청, 제주 독립운동가 자료 발굴 ‘기대’
道보훈청, 제주 독립운동가 자료 발굴 ‘기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출신 독립운동가 10명 중 6명이 정부로부터 독립유공자 서훈(훈·포장)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일인사실기’와 ‘제주항일독립운동사’에 소개된 제주 출신 독립운동가 505명 가운데 서훈을 받은 독립유공자는 202명(40%)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가 많은 것은 유족들이 독립운동 활동 내역과 수형 기록 등을 스스로 찾아내고, 공적 증거를 입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전문성이 없는 유족들이 독립운동가의 활동 기록을 찾아내서 공적을 인정받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후손이 없거나 대가 끊겨 독립유공자 신청조차 못하는 경우도 있다.

독립군으로 활동했던 제주4·3 의인 고(故) 문형순 성산포경찰서장, 제주해녀항일운동을 주도했던 김계석·고차동(고순효) 해녀 등은 입증 자료가 부족하다거나 수형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서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사회주의계열 항일운동 청년단체인 ‘신인회’를 결성한 김택수·송종현·한상호 선생은 광복 후 행적이 불분명하다는 이유로 서훈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부가 각종 기록과 문헌 등을 토대로 독립유공자를 적극 발굴해야 함에도 유족들에게 독립유공자 입증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 나라의 독립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시킨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국가의 예우가 이 정도라니 한심스러울 뿐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청장 양홍준)이 독립유공자로 선정되지 못한 제주 출신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자료 확보에 나섰다는 점이다. 정부와 국가기관의 자료와 일제강점기 문헌 등을 조사, 독립유공자 심사 기준에 맞도록 자료를 발굴키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후보 시절 “국가를 위해 희생한 영웅을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 보훈국가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제주도 보훈청의 노력이 큰 성과를 거두길 기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