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태양광 출력제어 해소...제주에 ESS설비 첫 도입 '주목'
풍력.태양광 출력제어 해소...제주에 ESS설비 첫 도입 '주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산업부, 배터리 ESS사업 입찰공고...4시간 동안 전력 저장 후 사용가능
전력 과잉생산 따른 가동 중단 문제 완화...ESS 전력시장 개설도 '관심'
경상 경산변전소에 주파수 조정용으로 설치된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모습. 한국전력 제공.
경상 경산변전소에 주파수 조정용으로 설치된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설 모습. 한국전력 제공.

풍력·태양광발전의 출력 제어(가동 중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제주지역에 첫 도입된다.

ESS는 풍력과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기를 리튬이온 배터리에 저장해 놓았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장치로 대규모 배터리로 보면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 수급 안정화와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문제 완화를 위한 ESS 설비를 제주지역에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산업부는 260메가와트시(㎿h) 규모의 배터리 ESS 사업 입찰공고를 18일 낸다.

ESS가 도입되면 풍력·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산된 65메가와트(㎿) 전력을 4시간 동안 충전·보관이 가능하며, 전기 공급이 필요할 때 다시 같은 전력을 4시간 동안 공급할 수 있다.

사업자는 ESS 설비를 구축·운영하면 향후 15년 동안 약속받은 단가로 전력거래소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산업부는 입찰 가격과 기술 능력, 화재 방지 등 설비 안정성, 산업·경제 기여도 등을 종합 평가해 연말까지 최종 낙찰자(사업자)를 선정한다. 제주지역에서 ESS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전국에 ESS 도입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한국전력이 국내 전력산업(생산·판매)을 독점한 가운데 ESS 기반 전력시장이 개설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ESS 전력시장이 개설되면 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에 도입을 목표로 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도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분산에너지는 동네 소규모 발전소(태양광·풍력)에서 생산된 전력을 제주지역에서 자체적으로 판매·소비할 수 있는 제도다.

제주지역에서 필요한 전력의 55.1%는 중앙급전 발전소에서 생산한다. 또 제주~전남 해저케이블을 통해 26.6%의 전력을 공급받으며, 19.13%는 풍력·태양광 발전설비로 충당하고 있다.

그런데 풍력과 태양광발전 설비 증가로 전력이 남아돌고 있는데 초과 생산된 전력을 송전로에 흘려보내면 과부하로 인해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다.

전력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 2015년 전국 최초로 제주지역에서 풍력발전 출력 제한이 단행됐다.

풍력·태양광 출력 제어는 2019년 46회, 2020년 77회, 2021년 64회, 지난해 125회 등 가동을 멈추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올해 5월까지 출력 제어는 풍력 104회, 태양광발전 28회에 이른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제주지역 전력생산설비 용량은 총 2181메가와트(㎿)다. LNG발전소 등 중앙급전 발전소 910㎿(42%), 풍력·태양광 발전설비 871㎿(40%), 해저 연계선 및 폐기물 발전 400㎿(18%) 규모다.

발전량 기준으로 풍력·태양광 신재생에너지는 2021년 18.3%에서 지난해 19.13% 비중을 차지하는 등 매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한전 2023-08-18 15:48:49
3,4개월 쓰고 또 화재 뉴스 뜨는거지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