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해요! 우리 동네 골목상권 살리기
함께해요! 우리 동네 골목상권 살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영심.
강영심.

▲함께해요! 우리 동네 골목상권 살리기

강영심, 제주시 일도1동 주민자치팀장

 

요즘 소상공인 시장은 대형마트, 복합쇼핑몰과 함께 홈쇼핑 채널 등에 의해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골목 상권 경제는 그리 힘들지 않았다.

그 시절에는 할 것이 없을 때 식당이라도 차리면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었다고 하지만 요즘 외식 시장은 과열 경쟁의 온상이다. 우리나라 음식점 수는 1990년대 초, 36만여 개에서 현재 70만여 개에 달한다.

또한 시대가 바뀌어가며 코로나 19 등으로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원스톱 쇼핑을 할 수 있는 홈쇼핑몰이나 국내 대형마트가 성행하면서 오프라인의 골목 상권은 갈수록 침체되고 있다.

이에 주요 지자체마다 매력 있고 즐거움이 있는 골목 상권을 만들기 위해 다들안간힘을 쏟고 있다. 무엇보다 골목 상권에는 온라인에는 비할 수 없는 골목 상권 만의 매력이 있다. 제주도도 1990년대까지 제주의 중심이던 원도심에 옛 목욕탕과 여관 등지 갤러리와 카페와 같은 상업 공간과 문화시설이 자리를 잡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모습으로 탈바꿈했고 이와 같은 매력에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들어 옛 추억을 상기시키곤 한다.

현재 우리 동 주민센터에서도 숨은 자원을 활용한 민·관이 함께하는 골목 상권 살리기 3·3·7운동을 활발히 전개하며 SNS 홍보나 쇼핑 인구 유입을 위한 쇼핑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차별화된 골목 상권 살리기에 박차를 가해 나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바란다.

 

 

신철민.
신철민.

▲모두에게 당연한 일

신철민, 서귀포예술의전당

 

무언가를 부탁하는 일은 쉽지 않다. 부탁을 받는 입장에서도 번거롭고 힘든 일이 더해진다면 더욱 어려운 일이 된다. 그런 경우 대부분이 마음의 부담을 덜고자 간단한 음료나 작은 선물, 식사와 같은 성의 표시를 준비하곤 한다.

지난 4년 여의 짧은 공직 생활 동안 많은 민원인께서 항상 지난 일들, 혹은 일어날 일들에 대한 감사와 부탁의 뜻이라고 하며 무언가를 준비해 오셨다. 당연히 공직자로서 업무와 관련된 분에게 작은 것 하나 받을 수 없다며 한사코 거절하지만, “그럴거면 쓰레기통에 버리겠다.”, “그냥 여기 두고 가겠다.”라며 난감한 상황이 종종 벌어지곤 한다. 나뿐만 아니라 많은 공직자가 위와 같은 문제를 더러 겪었을 터.

민원을 처리함에 있어 관련 법령을 검토하고 그 가부(可否)를 따지는 일은 공직자라면 당연히 해야 하는 업무이다. 또한 민원인은 공직자에게 그 업무와 관련해 법령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요구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말했던 ‘부탁’과는 다르다. 어찌 보면 마음의 부담이 개입하지 않는 상호 간의 당연한 일인 것이다. 하지만 법령이 허락하는 범위 외의 것은 민원인이 어떤 성의를 표시하더라도 공직자가 들어줄 수도 없고, 봐줄 수도 없다.

그러므로 행정기관을 방문하며 준비하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부담스러운 성의 표시보다는 함께 존중하며 오고 가는 친절 속에 진심을 담은 “감사합니다.” 라는 말 한마디가 어떨까?

 

 

정정식.
정정식.

▲치안 공백, 농촌의 또다른 소멸 위험

정정식, 농협 창녕교육원 교수

 

최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경찰청은 전국에 있는 952개의 치안센터 중 무려 60.5%에 달하는 576개의 치안센터를 폐지할 계획이다. 이는 농촌 지역 주민들에게 매우 안타까운 소식이다. 경남, 충북 등 많은 지역에서 치안센터의 폐지율이 높아짐에 따라, 농촌 사회에서는 치안 불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농촌 사회의 치안 문제는 오랜 시간 동안 소외돼 온 사안이다. 도시에 비해 인구가 적고 고령층이 많은 농촌 지역에서 치안센터는 단순한 치안 유지 기능을 넘어 주민들의 삶의 질과 직결된 존재이다. 치안센터가 주민 상담, 소규모 민원 해결, 그리고 무엇보다 주민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의 안정과 치안 유지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수산물 절도, 노인 교통사고,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에 취약한 농촌에서는 치안센터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

만일 치안센터의 축소가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농촌 지역의 치안 공백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치안 서비스의 감소는 안전 문제를 넘어서 이미 위축돼 있는 농촌 사회의 활력을 더욱 앗아갈 수 있다.

따라서 농촌 지역의 범죄 예방과 치안 유지를 위해 치안센터의 폐지가 아니라 그 역할을 강화하고 농촌 지역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일 것이다. 치안센터의 문을 닫는 것이 아니라,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농촌 사회가 실질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다.

 

 

※ 본란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