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고 기댈 데 없는 문화예술
버티고 기댈 데 없는 문화예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명언, 서귀포문화원장·수필가

겨울날 찬 서리 만큼이나 문화예술계의 2024년은 추운 겨울이 오는 것 같다. 얼마 전 신문을 보니 내년 예산 ‘문화예술분야 16.3% 줄어’라는 내용이 실리면서 문화예술분야를 홀대하고 있다는 성토를 쏟아 냈고, 대참사라 말할 정도라 했다. 사실 문화예술이라는 것은 이기고 지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순위를 매기기도 어려워서 예산을 올리고 내리는 데 가장 예외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문화예술이 주는 결과와 성과는 무엇으로 나타나는가? 참 쉽고도 어려운 질문이다. 제공자의 입장이냐, 수용자의 입장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화예술의 성과 공유는 단순히 언론기사나 입소문을 넘어서 개개인의 새로운 시선, 성찰, 욕구를 문화 예술적으로 엮어내는 것이라 하겠다. 사람들은 문화예술을 통해 사람을 보고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촉매 역할을 한다고 보며, 세대를 연결하는 관계가 문화예술이라 하겠다. 이런 걸로 볼 때 관계는 법과 제도로 규정될 수 없다. 나’와 ‘너’라는 실존적 관계에 기대지 않고 제도와 규칙 또는 명령으로 권리나 상호 존중 감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직 순간순간 ‘너’의 말을 듣고 거기에 ‘내’가 반응하면서 관계를 만들어간다.

문화예술 활동 역시 공기처럼 그 중요성에 비해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단순히 참여자 수, 프로그램 개발 건수, 교육 및 연구시수 등 정량적 결과만으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 문화예술을 판단하는 근거가 정책적으로 보면 정량적 성과를 통해 정책목표와 방향이 잘 실행됐는지, 뚜렷한 실적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평가해 다시 안정적 예산투입이라는 환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문화예술분야의 예산은 늘 고무줄 예산이다. 문화예술 활동가 역시 계속되는 지원 사업 낙방에도 문을 두드리며 무엇인가에 매혹돼 폭주 기관차처럼 내달리다가도 어느 순간 도망치며 자괴감에 시달리게 된다. 일상에 스며든 문화예술의 경제적, 사회적 가치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문화예술분야의 예산은 확장돼야 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도시들을 바라볼 때 위성도시, 낙후도시, 쇠퇴도시 등 이런 도시들을 기억한다. 이제는 소멸도시가 등장하고 있다. 인구가 계속 줄어들어 사람이 살지 않게 되면 그 지역은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방쇠퇴,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 ‘혁신도시’ ‘문화도시’가 필요한 것이다.

서귀포시가 전국 최초 문화도시로 선정돼 105개 마을이 가꾸는 노지문화를 바탕으로 전개하다가 2024년 일몰을 앞두고 있고, 제주시가 광역문화도시 선정에 도전하는 이 시점에서 도의 정책의 문화 예술지원이라는 지원 정책이 눈에 보일 때 문화도시 선정에 인센티브가 주어질 것이다.

현재의 결실에 급급하지 말고 후대에 열매가 맺을 수 있도록 문화를 위한 장기적인 투자, 전통문화의 보존, 문화상품의 개발, 계승, 발전을 위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의 수립과 지속적인 집행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고군분투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이나 시스템에 반영되어 지길 바랄 뿐이다.

 

 

※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