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굴러가는 옴서(來書)·감서(行書) 도서관, 왜?
안 굴러가는 옴서(來書)·감서(行書) 도서관, 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문호, 전북대학교 초빙교수

제주 버스는 두 바퀴로 잘 굴러 간다. 20도 기운 동고서저 타원형 제주섬. 마을을 옴차(오는차)와 감차(가는차)가 각 지역 시·읍·면·동으로 종횡하며 연결돼 있어 주민들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 오는 손님들까지 올레길 걷기가 편리하게 돼 있다. 올레객 손님들은 제주지역을 장축인 동쪽 성산포와 서쪽 모슬포, 그리고 단축인 북쪽 제주시와 남쪽 서귀포를 거점 포인트로 네 곳을 잡아 한 곳에 4~5일 머물면서 지선 마을버스를 이용, 26개 코스를 완주한다. 6일 거점숙박에 1일 4~5개 코스 올레길 걷기로 계산된다.

반면 제주 도서관 21곳은 버스처럼 두 바퀴로 잘 안 굴러간다. 왜 일까?

공공도서관 시설 현대화 및 운용은 제주도지사와 제주도교육감, 제주·서귀포시 시장이 차 한잔하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도서관 내에 잘 안 터지는 와이파이, 일주일마다 하루씩 문 닫는 제주도서관·인접 도서관끼리 옴서, 감서하며 책을 교환 못하는 불통 도서관, 그래놓고 전국에서 도서관 수가 21개로 제일 많다고 자랑하고 있다.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으로 한라도서관은 제주도가 운영하고 있다.

제주시청 소관에 우당·탐라·조천읍·한경·애월·기적의도서관 등 여섯 곳, 서귀포시청 소관에 삼매봉·중앙·효돈 동부·중문 서부·성산일출·안덕산방·표선·기적의도서관 등 여덟 곳이다.

도교육청 소관은 제주시 제주·서귀포시 서귀포도서관을 비롯해 모슬포 송악·남원 제남·구좌 동녘·한림 한수풀 등 여섯 곳이다.

이처럼 제주도 공공도서관 총계는 21곳. 그런데, 문제는 도서관이 별개로 움직이고 있어 연계 네트워크가 원활하지 않다. 따라서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을 도교육청 소속으로 한다든지 단일화해서 타이트하게 운영해야 한다.

학생들이나 퇴근해서 온 사람들, 정년 이후 제2의 취업을 위해 더 공부할 수 있도록 아침 8시부터 밤 10시까지는 문을 열어 줘야 한다. 

문제는 공공도서관 소속 기관의 지배 구조에 있다. 도민 세금으로 운영하면서 교육청과 양 행정시로 이원화돼 있어 ‘옴서 감서 책 운행버스’가 없다. 모슬포 송악도서관 이용자를 보면 이웃 영어교육도시 학부형과 자녀, 한달 살기나 원격 온라인에 의한 서울 직장인이 많다. 그런데 제주마을버스보다 못한 와이파이로 컴퓨터 네트워크가 터지지 않아 한숨을 쉰다. 또 일주일에 꼭 하루 문을 닫는 이유는 뭔가?

전주에서는 1년 365일 중 추석과 설 명절, 크리스마스 등 3~4일정도만 휴관한다. 아침 8시에 문을 열고 밤 10시에 문을 닫는다. 열람실 담당 고용 직원을 도서관당 2~3명 별도 채용한다. 이로인해 365일 도서관 운영이 가능한 것이다.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은 어떻게 하면 가장 빠른 정보를 가장 편리하고 친절하게 제공할 지가 중요한 포인트다. 도내 도서관만을 순환하는 버스 순회 네트워크 서비스, 일명 ‘옴서(來書) 감서(行書)-Coming Books, Going Books’를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

버스 시스템을 보면 답이 있다.

 

 

※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문현수 2024-02-16 15:55:10
도서관에 관한 좋은 글입니다.

유만형 2024-01-19 23:27:35
* 제주도에 도서관이 많아 좋은 일이다. 전국 어디나 지자체 운영 도서관과 교육청 운영도서관으로 나누어 있나보다. 왜 그런지 국민 입장에서 헷갈린다. 통일은 남북통일이 좋다지만 도서관도 한곳으로 넘겨 운영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든다. 영어교육도시 살때 가끔씩 모슬포 송악도서관을 이용하곤 했다. 그 도서관이 쉴때는 좀 더 멀리 화순의 산방산 도서관을 찾았던 경험이 떠오른다. 위 글에서 언급했듯이 좀 빨리 열고 좀 늦게 닫는 수고가 있으면 좋겠다. 그럼 이용자의 배움도 배가되겠다. 도서관 운영자의 초과 근무일과 초과 시간을 고려하여 예산도 추가해야 한다. 이용자 위주의 좀 나은 개선책이 필요하다. 갈수록 고령사회로 접어드는 때에 책과 접하는 공간과 시간대를 넓혀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토록하는 바램이다

제주사랑 2024-01-18 17:43:58
도서관이 교육청과 양행정시로 이원화 되어 있어 불편한 부분이 있다는 것은 공감합니다만 9시에 문 여는 도서관 세상에 많습니다.(조금만 검색해보면 아실 수 있을거예요~)
도서관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다고 제주도가 자랑하는지도 의문이네요. 팩트체크가 덜 된 상태로 글을 쓰신 거 같아 아쉽지만, 글에서 도서관을 아끼시는 마음이 느껴지네요.
근데 굳이 버스 시스템과 비교하며 거기서 답을 찾아야할까요? 제주 버스 너무 불편합니다.. 1인당 차량 보유대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 제주도인 이유가 있겠지요..
그리고 도서관의 시대적 변화로 열람실을 없애는 도서관도 많이 생기는 건 아실까요? 전주뿐만이 아니라 서울, 경기 등 다앙한 지역의 도서관이 어떻게 되어있는지도 살펴보시고, 글을 작성해주시면 좋겠네요^^

제주평화 2024-01-18 06:11:21
적극 공감합니다.